여야는 4일 21대 국회 개원 일정을 둘러싼 막판 신경전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이 5일 본회의를 강행하기로 하자 미래통합당은 선전포고라며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민주당은 국회법에 따라 통합당을 제외하고라도 5일 임시회를 열어 국회의장단을 선출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통합당은 관례에 따라 원구성 협상, 즉 18개 상임위원장의 여야 배분이 끝나야 본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고 맞섰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하늘이 두 쪽이 나도 5일 반드시 본회의를 열겠다”며 “민주당은 5일 본회의를 ‘일하는 국회’로 나아가는 첫걸음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거 관행이라는 이유로 장시간 국회가 공전했고 협치란 이유로 법이 무시됐다”며 “야당은 여전히 잘못된 과거 관행을 신줏단지처럼 모시지만 국민들은 과거의 잘못과 관행을 혁파하고 국회의 근본을 세우라고 말한다. 미래통합당은 조건 없이 내일 본회의에 참여해달라”고 촉구했다.
반면 통합당은 여당의 개원을 강행할 경우 역풍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력 경고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비대위 회의에서 “일방적 개원은 민주당이 국민으로부터 버림받는 첫날이 될 것”이라며 “독재의 선전포고나 다름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주 원내대표는 “협의에 의한 개원이 되고 나면 질병관리본부의 청 승격이라든지, (3차) 추가경정예산에 관해 적극적인 자세로 임할 준비가 돼 있다”며 “(민주당은) 늘 총선에서 177석을 준 국민들의 민심을 이야기한다. 민심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하루 아침에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는 점을 잊지 말길 바란다”고 경고했다.
여야 쟁점은 주요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다. 통합당은 관행에 따라 상임위원장을 나눠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의석수에 비례해 상임위원장을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5일 본회의는 제1야당이 불참하는 ‘반쪽짜리’가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날 본회의는 21대 초대 국회의장단을 선출하는 표결이 이뤄질 예정인데, 통합당이 불참할 경우 야당 몫 국회부의장 선출이 불투명해진다.
다만, 김태년·주호영 여야 원내대표는 이날 저녁 다시 만나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어서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될 지 주목된다.
/정영선기자 y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