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더불어민주당의 법안·인사 강행 처리를 두고 "선출된 권력이 권위와 독재적 방향으로 가면 종말은 뻔하다"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최근 국회의 모습을 보면 선출된 권력이 어떻게 민주주의를 파괴하는지, 전형을 보여주는 것 같다"며 "최소한 과거 유신정권에서도 국회를 이런 식으로 운영해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통합당이 (의석) 수로 밀려 다수결로 모든 게 결정되는 상황에 속수무책이라 생각한다"며 "상임위나 본회의장에서 벌어지는 실상을 국민이 알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게 의원의 사명이다. 의원으로서 직무를 포기할 수는 없다"며 장외투쟁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 위원장은 "의회가 국민의 뜻과 정반대되는 행태를 계속하면, 자연적으로 외부에 반대 세력이 형성된다. 우리 국민이 그렇게 바보가 아니다"라며 "어떻게 하든 잃어버린 국민 신뢰를 되찾아 저 사람에게 미래를 맡겨도 대한민국이 괜찮겠다는 확신을 주도록 할 작정"이라고 말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언론에서는 장외투쟁에 본격적으로 나가느냐고 많이 묻는다. 우리가 장외투쟁을 좋아하지 않지만, 그 가능성을 닫지도 않을 것"이라며 "지금 폭우가 내려서 전국이 비상상태고 여름 휴가철도 겹쳐있는데다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있어 시기적으로 고민을 많이 하고 있고, 방식도 고민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에게 알릴 효과적인 방법은 그래도 국회에서 불법과 폭정을 따지고 우리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의견이 있다"며 만약 장외투쟁에 나서더라도 국회를 전면적으로 보이콧하지는 않을 방침임을 시사했다.
주 원내대표는 "헌법과 국회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최선을 다해 우리 주장을 밝히되 겸손하고 오만하지 않게, 막말이라는 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자는 말이 많았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