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들이 기준금리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예금 금리를 높이는 '역주행'에 나섰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예금보호 한도 1억 원 확대와 맞물려 고금리를 제공하는 '머니무브'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연체율이 9%대까지 오르고 있어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 연 3%다. 지난 5월 2.96%였던 평균 금리는 6월과 7월 두 달 연속 상승하며 다시 3%선을 회복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최대 2.8%인 것을 고려하면 금리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저축은행들은 고금리 상품를 내세운 특판에도 적극적이다. SBI저축은행은 지난달 말 최고 연 3.85% 금리를 제공하는 '사이다뱅크 자유적금'을 출시했으며, 5시간 만에 300억 원 한도가 모두 소진됐다. 청주저축은행(3.4%), JT저축은행(3.26%), 애큐온저축은행(3.25%) 등도 연 3%대 금리의 정기예금 상품을 판매 중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하락세에 접어들고 있음에도 이처럼 저축은행들이 금리 역주행에 나선 것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수신잔액을 방어하기 위해서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수신잔고는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째 하락하고 있으며, 3월(99조 5873억 원)과 4월(98조 3941억 원) 모두 100조 원을 밑돌고 있다. 지난해 판매됐던 고금리 예금의 만기가 다가오면서 수신이 줄어드는 속도가 더욱 가팔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에 맞춰 은행에서 저축은행으로의 자금 이동이 활발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예금 보호 한도가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늘어나는 만큼 같은 원금으로 보다 많은 이자를 받으려는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번 금리 인상 역시 한도 상향에 앞서 고액 예금자들의 자금을 선점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도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대출 부실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저축은행들이 건전성 관리에 더욱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방 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출도 상당해 위험성은 더욱 높다. 실제로 지난 3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8.99%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실대출(고정이하여신) 비중도 25.6%에 달한다.
한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자금을 꾸준히 모아놓지 않으면 추후에 부실 논란은 또 생길 수 있다"며 "예금 금리를 유지하고 영업을 확대하는 게 수신 잔액을 늘리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