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업체들의 법정 의무교육에 따른 인력운영 및 소요비용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중기중앙회 인천본부에 따르면 전국의 중소제조업 522개 업체를 대상으로 '법정 의무교육 현황 및 애로조사' 결과 지난해 지출한 교육비는 연간 587만 원, 이수교육 5.3종목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교육참가 비용이 200만 원 이상인 업체비중은 9.2%, 이수교육 갯수가 10개 이상인 업체비중이 4.4%로 나타났다. 임직원 업무공백에 대한 부담 여부에 대해 ‘부담 된다’가 49.6%로 조사됐고, 특히 화학 업종의 경우 61%로 가장 높았으며 전기·전자(57.8%), 식음료(55.6%) 등의 순이었다.
이어 가장 시급히 도입해야 할 정책으로는 ‘이수시간의 축소’가 24.3%로 가장 높았고, ‘의무교육 종류의 수 축소’(19.2%), ‘온라인 교육 시스템 구축’(17.4%) 등을 꼽았다.
해당 정책과 관련 개선이 필요한 교육으로 ‘산업안전 보건교육’이 35.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26.4%), ‘개인정보 보호 교육’(25.7%) 을 지적했다.
본부 관계자는 “현재 코로나19 및 수해재난으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집체교육, 긴 교육 시간은 업무공백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며 “특히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집체교육의 온라인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기업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