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을 훌쩍 넘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국내 수출 전망이 백신 접종 개시 기대감 등을 반영하며 국내 주요 수출기업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19년 매출액을 기준으로 상위 1000개 기업 중 686개사를 대상으로 벌인 ‘2021년 수출 전망 및 환율·통상이슈 점검 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전체 응답 기업 중 지난해 수출 감소에 따른 기저 효과 그리고 백신 개발에 대한 경기회복 기대 심리 등을 반영해 ‘올해는 수출이 지난해 대비 평균 7.4%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전경련은 주력 수출 업종 중 반도체(10.2%), 자동차(13.9%), 선박(109.8%)를 꼽으며 올해 가장 큰 증가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한국과 수출이 개선될 국가로 중국(29.4%)을 우선으로 꼽았고 뒤를 이어 미국(27.5%), 일본(9.8%), 베트남(8.8%), 대만(1.0%), 인도(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약 8% 정도 경제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 중국과 바이든 행정부 탄생으로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선보일 미국이 안정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전경련은 수출에 대한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코로나19 재확산’을 38.6%로 가장 높게 선택했다.
이어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23.4%), 미중 무역분쟁(13.5%), 글로벌 환경규제 변화(11.6%), 보호무역조치 확산(8.9%), 디지털전환(2.3%) 등 요인을 꼽았다.
한편 한국은행에 따르면 실제로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초 들어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20일까지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반도체(11.6%)와 승용차(15.7%), 무선통신기기(60.5%) 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방기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