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문화산책] 기본소득과 소비노동조합


 

 

 

올더스 헉슬리가 소설 《멋진 신세계》를 발표한 것이 1932년이었다. 90여 년이 지났지만, 이 소설이 던진 질문은 여전히 유효하다. 과학 문명의 발달이 과연 인간의 삶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일까?

 

조지 오웰이 소설 《1984》를 발표한 것은 1949년이었다. 70년이 더 지났지만, 이 소설의 주인공 윈스턴이 던진 말은 아직도 유효하다. ‘공포와 증오, 잔인성 위에 문명을 세울 수는 없어요. 그런 문명은 유지되지 못해요.’

 

이 소설들을 포함한 많은 소설이 아직 닥쳐오지 않은 미래사회를 다루었고, 더러 현실이 되었다. 한국의 소설가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어떻게 상상하고 있을까.

 

최근 발간된 김강의 흥미로운 소설집 《소비노동조합》의 시대적 배경은 기본소득제가 시행된 지 이미 30년이 지난 2069년이다. 만 18세가 되는 순간부터 누구나 국가로부터 최소한의 생계비에 해당하는 기본소득을 받는 황금광 시대다. 생존을 위한 최저생계비가 아니라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문화와 여가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최소한의 생계비다. 이런 황금광 시대에는 갈등이 종식되고 채무자들도 사라지는 것일까?

 

아이러니하게도 이 소설의 주인공은 사채업자다. 그것도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가업이다. 주인공은 아버지로부터 가업과 함께 물려받은 돈을 빌려주는 원칙을 철저하게 준수한다. 첫째, 직업이 없는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지 않는다. 직업이 없어도 사는 데 지장이 없는 시대에도 일한다는 것은 성실성의 증표이기 때문이다. 성실한 사람이 돈을 잘 갚는 건 당연하다. 둘째, 채무자의 임금에는 손을 대지 않는다. 임금에 손댈 필요 없이 상환이 끝날 때까지 기본소득 통장과 체크카드를 확보하면 그만이다. 정부가 망하거나 채무자가 죽지 않는 이상 매달 돈은 꼬박꼬박 들어올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려 간 20대 청년으로부터 확보해둔 통장에 두 달째 기본소득이 입금되지 않는다. 전화기도 꺼져있는 채무자를 겨우 찾아냈는데, 구치소에 들어가 있다. ‘전국소비노동조합’이란 걸 만들어 기본소득 인상을 요구하며 기본소득부 장관의 집무실 점거농성을 벌이다 구속된 것이다. 구치소에는 채무자가 들어갔는데, 기본소득을 못 받게 된 것은 사채업자다. 정부에서 모든 생활을 책임지는 ‘국립호텔’인 구치소에 들어가는 순간 기본소득을 주지 않는 것이다.

 

구치소로 면회를 간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려 간 20대 청년 채무자는 ‘우리는 기본소득이라는 임금을 받으며 소비라는 고단한 노동을 하는 노동자’라고 말한다. 인간의 노동이 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사회에서 기계가 생산을 대체하는 시대로 바뀌면서 인간의 기능이 생산이 아닌 소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일까. 가치가 생산에 있지 않고 소비에 있다면 생산노동이 아닌 소비노동에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작가의 상상력은 이 소설이 시대 배경으로 설정한 2069년에 과연 어떤 평가를 받게 될까.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