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기 옹진군과 인천시는 해양수산부가 공모한 ‘지역밀착형 탄소중립 오션뉴딜’ 사업 유치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총예산 70억 원(국비 49억 원)으로 바다를 접한 지자체의 해양 탄소중립을 위해 각종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옹진군이 관할하는 해양면적은 인천시 전체의 80%로 강화와 영종도 일부를 제외하면 수도권 해양면적의 대부분을 관할하고 있으며, 연간 수거하는 바다쓰레기 양도 2000톤 이상으로 매년 바다쓰레기 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이 수 십억 원에 이르고 있다.
그동안 바다쓰레기는 인적이 닿는 곳만 인력을 동원해 수거하는 형태로 이뤄졌으며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무인도, 해안절벽 아래 등은 수거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바다쓰레기가 주로 많이 분포하는 위치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번 시와 군이 유치한 탄소중립 오션뉴딜사업은 해양쓰레기의 발생원에서부터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쓰레기의 경로, 최종 종착지 및 전체적인 바다쓰레기 분포도 등의 모든 데이터를 인공위성 및 드론, 해저 음파탐지 장비 등 최첨단 장비를 통해 수집, AI가 적용된 ‘스마트 해양환경관리 플랫폼’으로 전송해 체계적으로 바다쓰레기를 관리하는 것이다.
장정민 군수는 “스마트 해양환경관리 플랫폼이 구축되면 2023년 건조 예정인 도서쓰레기 정화운반선과 연계, 당초 인력에만 의지해 바다쓰레기를 수거하던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획기적이고 체계적으로 바다쓰레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인천 = 조경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