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1℃
  • 구름많음강릉 33.2℃
  • 구름많음서울 29.6℃
  • 흐림대전 28.2℃
  • 흐림대구 29.5℃
  • 구름많음울산 27.6℃
  • 흐림광주 27.1℃
  • 흐림부산 26.3℃
  • 흐림고창 27.0℃
  • 제주 23.3℃
  • 구름많음강화 24.4℃
  • 흐림보은 27.4℃
  • 흐림금산 27.1℃
  • 흐림강진군 25.1℃
  • 구름많음경주시 31.0℃
  • 흐림거제 25.3℃
기상청 제공

'역대 최고 투표율' 기록했지만…관리 부실에 사전투표 '대혼란'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사전투표가 역대 최고치의 투표율을 기록했지만, 투표소 부실관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혼란에 휩싸이고 있다.

 

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4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된 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에 총 선거인 4419만 7692명 가운데 1632만 3602명이 참여한 것으로 잠정 집계돼 36.93%의 투표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전투표가 전국단위 선거에 처음 적용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이다.

 

이전까지 가장 높았던 전국단위 선거 사전투표율은 2020년 4·15 총선 당시 26.69%였다. 지난 2017년 대선 때는 26.06%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전남(51.45%)의 투표율이 가장 높았고 전북(48.63%), 광주(48.27%), 세종(44.11%), 경북(41.02%) 등이 뒤를 이었다.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경기(33.65%)였고, 제주(33.78%), 대구(33.91%), 인천(34.09%), 부산(34.25%)도 35%를 밑돌았다. 서울은 37.23%를 기록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진자·격리자 투표 관리가 부실한 상태로 진행되는 등 곳곳에서 대혼란이 일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선관위의 준비 부족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날 전국 곳곳의 투표소에서는 확진자를 위한 투표함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대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거나 불량 투표용지가 배포되는 일도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칫 '부정선거 논란'의 빌미를 줄 만한 사례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선관위는 제대로 된 해명이나 설명을 내놓지 못한 채 침묵을 지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이날 SNS에 "참정권 보장이 최우선"이라며 "선관위와 당국은 9일 본투표에서는 확진자들의 불편과 혼선이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히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행안위원장인 민주당 서영교 의원도 SNS에 "오늘 발생한 확진자 투표 혼란에 대해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 선관위는 전국 투표소 상황을 체크해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확인해야 한다"라며 "본투표때는 국민 여러분의 투표권 행사에 불편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측은 심야에 선관위를 항의 방문하는 등 더욱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준석 대표는 SNS에 "선관위원장 이하 선관위원들은 이 사태에 꼭 책임을 지기 바란다"며 사실상 사퇴를 요구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선관위에 이런 상황이 발생한 연유를 따져 물을 것이며 우선 9일에 진행되는 본투표 전까지 신속하게 납득할 만한 보완책을 만들 것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김은혜 선대본부 공보단장을 비롯해 김웅·유경준·이영 의원 등은 이날 밤 9시 45분 선관위를 찾아 자정을 넘긴 시간까지 머물며 선관위 관계자들에게 격한 항의를 쏟아내기도 했다.

 

김 의원은 선관위 항의방문 중 SNS에 "문제는 이런 불법투표 하려고 국민들이 지난 5년을 기다린 게 아니라는 피 끓는 현실"이라고 썼다.

 

김 의원은 6일 재차 글을 올려 "당이 이어받아 단호하게 맞서겠다"라며 "입을 다물 수 없는 무능한 선거관리, 더 따지고 더 철저하게 감시하겠다"고 전했다.

 

이런 혼란 속에 선관위는 아직 제대로 입장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 선관위 관계자는 "여러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며 입장 정리가 아직 되지 않았다고만 했다.
 

선관위는 '투표소별 투표함 1개 규정'에 따른 주먹구구식 대책 마련과 확진자 투표자 규모 폭증에 대한 예측 미비 등으로 대혼란을 자초한 만큼, 부실관리 책임론을 피하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경기신문 = 배덕훈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