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토양오염으로부터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토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5월부터 10월까지 토양오염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올해 조사 대상은 모두 110개 지역으로 전년보다 15곳이 늘었으며, 50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시는 잠재토양오염원 시설 사전조사를 통해 토양오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예방하고 인천의 토양오염 관리 기반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가 지정한 산업단지 및 공장지역, 교통 관련 시설지역 등 중점오염원 64곳과 공장폐수 유입지역 31곳을 중점적으로 조사하며 이밖에 어린이 놀이시설지역, 지하수 오염지역 등에 대해서도 토양오염 조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토양오염조사기관의 시료채취용역을 통해 GPS측위 조사를 실시하고 매설물탐사와 표토 및 심토(0~5m까지) 시료를 채취도 병행한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조사지점 및 오염유형에 따라 표토와 심토에 대해 유해중금속과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토양오염물질 23개 항목을 검사한다. 토양환경보전법에 의한 토양오염 우려 기준 적합 여부를 판정할 예정이며, 군·구는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지역에 대해 토양정밀조사 및 정화·복원 등의 행정처분 명령을 취할 계획이다.
유훈수 시 환경국장은 “우리 삶의 근원이 되는 토양의 오염 실태조사를 적극 추진해 토양오염 발생 및 확산을 사전 예방하고, 깨끗한 토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인천광역시 토양보전계획(2020~2029) 수립을 통해 토양오염 실태조사 범위를 확대하고 조사방법 개선을 추진한 바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정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