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1일 이태원 참사 후속조치와 관련해 근본적 방지를 위한 인파 관리체제 연구 개발 및 도입을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거듭 강조하지만 국정의 최우선은 본건 사고의 수습과 후속 조치”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국무회의는 당초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 윤 대통령 주재로 변경됐다.
윤 대통령은 “이태원 참사는 이른바 크라우드 매니지먼트라는 인파 통제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 사회는 인파 군중 관리에 대한 체계적 연구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드론 등 첨단 디지털 역량을 적극 활용해 기술을 개발하고 제도적 보완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이번 대형 참사가 발생한 이면도로 뿐 아니라 군중이 운집하는 경기장, 공연장 등도 확실한 인파관리 안전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행사 주체자를 따질 것이 아니라 국민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희생자들과 부상자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는 “대다수가 아들딸 같은 청년들이라 더욱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부모님들 심정이 오죽하겠나”라고 했다.
특히 각 관계부처를 향해서 “관계 기관에서는 내 가족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한 분 한 분 각별하게 챙겨드리고 유가족을 세심하게 살펴드리기 바란다”며 “장관들은 무서운 책임감을 갖고 하나하나 꼼꼼하게 점검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비롯해 구호와 후송에 애써 주신 시민들, 소방관·경찰관 등 제복 입은 공직자들, 재해의료지원팀(DMAT) 의료진들의 헌신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이태원 참사에 애도의 뜻을 전달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일본 총리, 시진핑 중국 주석 등도 언급했다.
그는 “세계 각국 정상과 국민들이 보여준 따뜻한 위로에 대해 국민을 대표해서 깊이 감사드린다”며 “외국인 사상자도 우리 국민과 다름없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끝으로 "우리 사회가 슬픔과 트라우마를 이겨낼 수 있도록 모두 힘을 모아 달라"며 "다시 한번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치료 중인 분들의 조속한 쾌유를 지원하고 기원하겠다"며 정부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