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75%를 차기정부와 미래세대에 전가했다”면서 “경기도는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에 가장 앞장서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24일 시화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마팔하이테코 공장에서 열린 ‘경기 RE100 비전 선포식’에서 “미래세대를 위해 정부가 하는 것이 부족하다면 도에서 하는 것이 맞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얼마 전 발표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계획을 보면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30.2%에서 21.6%로 하향했다”며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14.5%에서 11.4%로 줄이면서 다른 부분에 전가했다”며 정부를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온실가스 총 감축 목표량의 75%는 차기 정부로 미루면서 미래 세대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며 “산업에서 재생에너지 전환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탄소중립과 관련된 역량과 정책은 상당히 우려가 크다”면서 “기후변화, 에너지 문제가 피할 수 없는 문제라면 도는 정면으로 부딪쳐 기회로 삼는 선도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과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낮춘 것에 반해 본인 직접 매달 회의를 주재해 비전을 구체화하고 실천하겠다고 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 RE100’ 비전 실현을 위한 실천 방안을 공공과 기업, 도민, 산업 등 4개 분야, 13개 과제에 담았다.
그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0% 달성하고, 원전 6기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공급, 영농형 태양광 등 도민의 탄소중립 실천을 기회소득으로 돌려주는 에너지정책 추진, 공공기관 100% 신재생에너지 사용 등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인구 1400만명의 도는 대한민국 모든 산업의 중심이고 그만큼 탄소 배출도 많고, 가장 많은 탄소배출 물량을 차지하고 있다”면서도 “오늘의 기후위기를 내일의 성장기회로 삼겠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아울러 김 지사는 이날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 등 도 기후대사 23명과 경기도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 위원들을 위촉했다.
강 전 장관은 탄소중립 정책 자문과 함께 국제사회에서 지방정와 경기도의 기후정책을 공유하고 난제를 해결하는 가교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경기 RE100 비전 선포식에 수소자동차를 타고 참석했으며, 행사에 사용된 전력은 재생에너지인증서(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구매해 사용해 그 의미를 더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