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30.0℃
  • 맑음강릉 28.9℃
  • 구름조금서울 30.8℃
  • 맑음대전 29.7℃
  • 구름많음대구 29.4℃
  • 구름많음울산 27.0℃
  • 구름조금광주 29.1℃
  • 구름많음부산 26.6℃
  • 맑음고창 29.5℃
  • 구름많음제주 26.1℃
  • 맑음강화 27.2℃
  • 맑음보은 27.6℃
  • 맑음금산 29.0℃
  • 구름많음강진군 28.9℃
  • 구름많음경주시 28.6℃
  • 구름많음거제 26.7℃
기상청 제공

인천 부평구 1113공병단 사업 방식 두고 의견차…“무리한 방식” vs “난개발 방지”

국방부가 민간에 땅 파는 방식…개발계획 주도권 구에게
구동오 의원 “피해는 주민에게…사업 원점 검토해야”
정한솔 의원 “주민들, 아파트 조성 우려…구가 나서야”

 

인천 부평구가 추진하는 1113공병단 개발 사업 방식을 놓고 구의회에서 엇갈린 의견이 나왔다.

 

지난 29일 제256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자유발언에서 구동오 의원(국힘, 부평1·4)은 “구가 추진하는 방식으로 개발 사업이 시행된 사례는 전국 어디에도 없다”며 “국방부 동의와 도시개발구역 지정의 최종 결정권을 쥔 시의 판단도 장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무리한 방식으로 인해 사업이 좌초되면 피해는 고스란히 구민에게 돌아간다.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한솔 의원(민주, 산곡1~2·청천1~2)은 “지역 주민들은 이 땅에 또 아파트가 들어설까 봐 걱정한다. 구가 더 적극적으로 개발 사업의 컨트롤 타워가 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이곳은 난개발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독창적인 방법으로 가는 건 맞지만 문제가 될 일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렇게 의견이 나뉘는 이유는 전에 없던 개발방식 때문이다.

 

1113공병단 개발은 청천동 325번지 일대 6만 6989㎡에 5만 1740㎡ 규모로 진행된다. 구는 이곳에 복합 쇼핑몰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통상 군부대 이전 개발 사업은 지자체가 군부대 땅을 사고 민간사업자를 선정해 되파는 방식이다. 


구는 1500억 원으로 추산되는 땅값을 감당할 수 없었고 국방부가 직접 민간사업자에게 땅을 파는 방식을 선택했다.


땅이 지자체를 거치지 않지만 사업자를 직접 지정하기 때문에 개발계획 주도권은 구가 갖는다.

 

민주당은 주변 난개발을 막기 위한 방안이라는 입장이다.

 

사업 대상지는 2021년 5월 개통한 서울지하철 7호선 산곡역 인근이다. 알짜배기 땅인 만큼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주거 시설을 조성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이미 인근 대규모 재개발로 1만 5000여 세대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고 주민들은 복합 쇼핑몰 조성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샛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