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맑음동두천 24.4℃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25.0℃
  • 구름조금대전 25.3℃
  • 구름많음대구 25.7℃
  • 구름많음울산 20.3℃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많음부산 22.9℃
  • 구름많음고창 26.0℃
  • 흐림제주 22.3℃
  • 맑음강화 23.1℃
  • 구름조금보은 23.3℃
  • 구름많음금산 24.1℃
  • 구름많음강진군 26.1℃
  • 구름많음경주시 23.7℃
  • 구름많음거제 24.5℃
기상청 제공

[주필칼럼] 이래도 ‘에루샤’를 사시겠습니까?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이 이름을 들으면 여러분은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이 럭셔리 브랜드는 뛰어난 장인정신,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우아함, 엄청난 풍요로움으로 프랑스 패션의 아우라를 뽐내고 있다.

 

그래서일까? 불황 속에서도 이들은 호황의 기염을 토한다. 이 명품을 사기 위해 몰려드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 회사들이 벌어들이는 연간 수입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 중 에르메스와 샤넬 가방은 특히 고가다. 가방 하나에 천만 원이 훌쩍 넘는다. 아무리 명품이라지만 왜 이렇게 비싼 걸까? 거기에는 비밀이 있는 듯하다.

 

매거진 챌린지에 따르면, 에르메스는 책정된 고가의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재고 상품을 모두 소각한다. 이 작업은 극비리에 진행된다. 이른 아침, 파리 근교 센 생드니의 생투앙(Saint-Ouen) 소각장 앞. 이곳엔 1만 명의 에르메스 직원 중 무작위로 선발된 열 명의 직원이 모여 있다. 이들은 에르메스의 환상적인 제품들이 재로 변하는 소각장의 대형 굴뚝 앞으로 출근한 것이다. 곧이어 집행 사무실의 대표가 와 합류한다. 에르메스 상품들은 트럭에 실려 도착하고, 일부는 아직 주황색 상자에 담겨 있다. 현장의 한 직원이 “우리의 역할은 모든 것이 실제로 파괴되는지, 혹여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라고 설명한다.

 

거대한 구덩이에 던져진 지구상 최고의 명품들은 다른 곳에서 온 오물로 순식간에 뒤덮여 검은 연기를 뿜으며 활화산처럼 타오른다. 이 장면은 절대 사진에 담을 수 없다. 이 작업에 참가하는 직원들은 비밀 서약을 했기 때문이다. 에르메스가 이런 식으로 상품을 처분한다는 사실을 누가 아는가? 하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다. 에르메스는 브랜드의 독점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 방법이 최상의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루이비통의 경우는 에르메스보다 덜 극단적이라고 한다. 이 브랜드는 소각 대신 파리근처 말라코프 아틀리에에서 비공개로 세일을 진행한다. 직원들은 세일 전날 이미 일부 제품을 구입해 간다. 정가 550유로인 수영복을 275유로에 판매하는 등 약 50% 할인된 가격이다. 소수의 특권층에게만 파격적인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한다.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는 듯 하다. 루이비통의 전 회장 이브 카르셀(Yves Carcelle)은 “비통은 절대 세일을 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곤 했다. 그런데 이게 정녕 사실인가?

 

샤넬은 기성복과 액세서리 컬렉션을 프랑스 와즈 지역의 샹티이 근처에 있는 비공개 창고에 2년 동안 보관한다고 한다. 몇 시즌이 지나고 나면 파리 근처 ‘샹페레 광장(Espace Champerret)’에서 이 제품들을 VIP를 초청해 판매한다. 가격은 소매가의 10~20%에 불과하다. 초청된 손님들은 피팅룸이 없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옷을 갈아입는 진풍경을 벌인다.

 

이처럼 ‘에루샤’의 뒷면은 우아함과는 거리가 멀다. 그들의 터무니없는 가격에는 여러분이 모르는 진실마저 숨겨져 있다. 이래도 ‘에루샤’를 그 비싼 가격 주고 사실 것인가? 호갱이 되지 마시고 내면의 우아함을 길러 명품의 아우라를 뿜뿜 뿜어내는 편이 천배 낫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