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입주를 시작한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 내 한 지식산업센터는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공실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해당 지식산업센터 일부 층은 유치권 행사로 인해 불이 꺼져 있기도 하다.
게다가 건물 1층에 위치한 주점은 수개월 전부터 우편물 수령 안내문와 법원등기 안내문이 여러개 붙은 채 굳게 문을 닫아 유령 건물을 연상케 한다.
지식산업센터의 공실 문제가 여전한 것을 알 수 있다.
4일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지역본부와 인천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남동산단에만 지식산업센터 19곳이 있다.
지식산업센터는 도심 지역 또는 신도시 지구에서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 공장과 사무실이 입주하는 아파트형 건물을 말한다.
인천상의는 최근 지식산업센터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현상이 정부의 지식산업센터 공급 확대 독려 영향으로 보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를 가산디지털단지의 성공 요인이자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보급로로 보기 때문이다.
다만 서울과 지방의 지식산업센터 투자가치 차이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기존 제조업 공장에 비해 공간이 깨끗하고 교통이 편리해 청년 근무여건을 끌어 올리며 성공을 거둔 가산디지털단지와 달리 인천을 비롯한 지방의 지식산업센터는 투자가치가 낮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도 지식산업센터 입주 규제를 풀고, 비주거용 부동산의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등 공실률 해소를 도모하고 있다.
실제 제조업과 지식기반산업, 정보통신산업, 벤처기업 외 입주가 허용되지 않았으나 서비스업종도 입주가 가능해지면서 다소 공실률이 완화됐다.
인천지역 지식산업센터의 경우도 입주업체들이 주로 창업 제조업이나 1인 기업 등이 대다수 포진된 상황으로 서비스업종의 유입은 공실 해결책인 셈이다.
문제는 공실 해소보다 빠르게 세워지는 지식산업센터로 인한 공급 과잉이다.
노후화된 산단의 구조고도화 사업에 따라 지식산업센터는 계속해서 지어지고, 계양테크노밸리 등 새로운 산업단지가 만들어지고 있어서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제조업 규제도 많아지고, 여건이 어려워지다 보니 창업 자체가 줄고 있는데다가 개발원가가 오른 상황에서 지식산업센터 입주에 대한 메리트를 못느끼는 게 사실”이라며 “정부가 제조업 창업에 대한 인센티브나 동기부여를 많이 줘야 창업이 활발해지고 전반적인 경제 상황도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식산업센터로 인한 산단 내 주차문제라던지 인프라 구축 등의 장점도 있다”면서 “지식산업센터 장점을 살리면서 제조업 창업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뤄지는 산단 조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정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