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3.1℃
  • 구름조금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14.8℃
  • 구름많음대전 15.5℃
  • 구름많음대구 14.9℃
  • 구름조금울산 10.4℃
  • 흐림광주 16.0℃
  • 구름많음부산 12.5℃
  • 구름많음고창 11.1℃
  • 구름많음제주 14.4℃
  • 구름많음강화 10.3℃
  • 구름조금보은 11.9℃
  • 구름많음금산 12.6℃
  • 구름많음강진군 11.7℃
  • 구름조금경주시 9.4℃
  • 구름많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환경단체, “영흥석탄화력발전소 폐쇄해 기후 참사 막아야”…무탄소 연료전환 반대

“암모니아 혼소 20%, 수소 전소 전환은 현실적 방안 아냐”
수도권 전력 나눠 쓰는 서울과 경기도 대응 논의 함께해야
올해 안으로 시민들과 기후 정책 평가하는 시간 보낼 계획

 

기후위기 인천 비상행동 외 3개 환경단체가 영흥 석탄화력발전소의 완전한 조기 폐쇄를 정부와 인천시에 거듭 촉구했다.

 

28일 오후 기후위기 인천 비상행동 등은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탄소 연료전환이 아닌 석탄발전소를 폐쇄하는 것만이 기후 참사를 막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7월 해당 단체는 같은 자리에서 영흥 석탄발전소의 조기 폐쇄, 재생에너지 확대, 정의로운 전환 대책 등을 요구했었다.

 

그럼에도 지난 4개월 동안 실질적으로 달라진 바가 없다고 인천시를 향해 날선 지적을 했다.

 

당초 민선 8기 공약은 오는 2030년 1, 2호기 폐쇄 후 LNG 연료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단체는 “조기 폐쇄 없는 수소 전소 전환과 암모니아 혼소(혼합연소) 20% 전환으로 변경됐다”며 “이 같은 방식은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최대 20%인 반면 투자 비용은 막대해서 현실적 방안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암모니아는 초미세먼지의 원인 물질로도 작용한다”고 전했다.

 

또 영흥에서 생산된 전기는 수도권 전력의 약 20%를 책임지므로 인천과 서울·경기가 공동으로 기후 위기 대응을 논의해야 한다고 동참을 부탁하기도 했다.

 

앞으로의 활동 방향에 대해 장시정 기후위기 인천비상행동 단장은 “올해 녹색환경연구소와 함께 인천 시민을 대상으로 기후 정책을 평가하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는 2026 지방선거에서 인천지역 각 후보들에게도 발전소 관련 사항을 공약화해서 제안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을 반영해 오는 2030년까지 LNG 발전으로의 전환을 목표했으나 정부의 제9차 전력기본수급계획에는 전환 시점이 2034년으로 명시됐다.

 

이후 제10차, 11차 전기본에서도 이 시점은 변경이 없는 상황이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