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정치공세 성격의 탄핵은 국회 차원에서 철회해 헌법재판소(헌재)의 부담을 덜어 달라”고 요청했다.
권 권한대행은 이날 국회에서 이 대표를 예방해 “최재해 감사원장 등 14건의 탄핵안이 헌재에 계류 중이고, 대통령 탄핵안까지 가서 언제 다 처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나라가 어렵다. 어려울수록 행정부는 행정업무에 집중하고 사법부는 흔들림 없이 신속하고 공정한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어 “다만 입법부의 지나친 경쟁을 자제하고 차분하게 민생과 안보를 위해 머리를 맞댄다면 혼란 정국을 잘 수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권한대행은 “우리 헌정사에 세 번에 걸친 탄핵 정국이 있었다”며 “우리 헌법이 채택하고 있는 대통령 중심제가 과연 우리의 현실하고 잘 맞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도 말했다.
전부 아니면 전무(All or Nothing) 게임인 대통령제가 더 많은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고 상생·협력할 수 있는 제도로써의 변경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두 사람은 중앙대 동문이자 함께 사법고시를 준비하는 등 인연이 깊다. 이날 만남은 전날 원내대표 회동과 달리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는 동시에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의 여러 상황이 녹록치 않을 텐데 확고한 지도력으로 혼란스러운 국정을 신속하게 정리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서로 존재를 인정하고 적정하게 양보·타협해 일정 합의에 이르게 하는 게 정치 본연의 역할인데, 지금은 안타깝게도 정치가 아니라 전쟁이 되어 버린 상황”이라고 탄식했다.
이 대표는 “잠재성장률에 맞춰 지금까지 너무 현실적인 균형재정, 건전재정에 매몰돼 정부의 경제 부분에 대한 책임이 미약했다는 생각”이라며 민생추경에 대한 전향적 검토를 촉구했다.
또 권 권한대행이 부정적 입장을 보인 국정안정협의체에 대해 “필요한 부분까지 다 양보할 수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원내교섭단체로서는 실질적 협의를 해야된다고 생각한다”고 설득했다.
한편 이번 회동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 일정 등에 관한 논의는 없던 것으로 알려진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