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침체된 민생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나섰다.
20일 시는 수원상공회의소,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수원시소상공인연합회, 경기언론인클럽 등 관계기관과 함께 ‘위기의 민생경제 대전환 토론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재준 수원시장, 이재식 수원시의회 의장, 장정희 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최윤정 경기언론인클럽 이사장, 김민철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장과 유관기관 관계자 등 16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 발표는 이진우 기자(삼프로TV 부대표)의 '민생경제 동향과 지방정부 역할', 주한서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전략사업본부장의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대안 제언', 최종진 경제정책국장의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수원시 정책대응' 등 3건으로 진행됐다.
이진우 기자는 내수 경기 침체의 원인으로 ▲고금리 장기화 ▲건설 경기 둔화 ▲가계 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 위축 등을 꼽았다.
그는 “현 상황에서 창업이 어려운 만큼 기존 소상공인과 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소상공인과 기업을 보호하고 재창업을 지원하는 등 민생경제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시의 정책 대응 방침과 경기도 건의사항 등도 발표됐다. 최종진 수원시 경제정책국장은 기존 민생경제 극복을 위한 시 정책 대응 방안과 확대·개선 사항에 대한 의견을 전했다.
최 국장은 "2023년의 경우 수원기업새빛펀드 100억 원을 투자해 3149억 원을 결성한 바 있다"며 "2차 수원기업새빛펀드 조성으로 100억 원을 투자해 1000억 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투자된 금액과 검토 사항을 봤을 때 시 기업에 대한 의무 투자 약정액이 조기 완료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유망 벤처 창업,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가 중단 없이 지속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수원페이 인센티브 상향과 함께 더 많은 시민이 관내 업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매출 12억 원 이하의 제한 기준을 30억 원으로 상향할 것을 도에 건의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수원페이 만족도 조사에서 불편사항 1위로 꼽혔던 가맹점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대규모점포와 기업형 슈퍼마켓을 제외한 점포에서 사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한서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전략사업본부장은 "시장상권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주요 도시 점포 개업수는 2022년 2분기 1만 9586개소에서 지난해 2분기 1만 7645개소로 감소했다"며 "폐업수는 2022년 2분기 1만 97개소에서 지난해 2분기 1만 6625개소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상공인 지원 정책 방향으로는 자금지원, 경영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지원이 필요하다"며 "전자상거래 중개업이 늘어남에 따라 온라인 판매 지원, 마케팅 교육, 디자인 개발 지원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민생회복을 위한 대전환에 선도적으로 나서 지방정부의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겠다"며 "시가 할 수 있는 일을 더 찾고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 시민이 체감하는 민생경제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