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0 (목)

  • 맑음동두천 1.4℃
  • 맑음강릉 2.5℃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3.5℃
  • 맑음대구 4.9℃
  • 맑음울산 4.5℃
  • 맑음광주 3.2℃
  • 맑음부산 6.8℃
  • 맑음고창 0.9℃
  • 구름조금제주 5.9℃
  • 맑음강화 0.4℃
  • 맑음보은 1.9℃
  • 맑음금산 3.2℃
  • 구름조금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4.9℃
  • 맑음거제 5.4℃
기상청 제공

日 ‘위안부’ 생존자 7명…道, 독립기념관서 기억한다

도내 생존자 3명…金 “역사·진실 잊지 않을 것”
일제 저항한 독립운동기 전시 공간 필요성 대두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가 경기도 내 3명 등 7명으로 줄었다.

 

경기도는 일본에 저항한 ‘위안부’ 피해자 등 독립운동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추진 중인데 일각에서는 신속한 착공보다 신중한 설계가 중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17일 경기신문 취재에 따르면 전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별세했다. 길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7명만 남게 됐다. 생존자가 거주하는 곳은 경기도 3명, 서울·대구·경북·경남 각 1명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삶 자체로 역사의 증인이셨던 길원옥 할머님의 생을 기억한다”며 “역사와 진실을 위한 길 위에서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살아오신 할머님의 뜻을 결코 잊지 않겠다”고 추모했다.

 

도는 일제강점기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추진 중이다.

 

도 독립기념관에는 독립 운동가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항거활동을 펼친 ‘위안부’ 피해자들의 이야기와 강제징용, ‘위안부’ 피해자들의 수난사도 전시될 예정이다.

 

 

앞서 김 지사는 “독립 스토리 하나하나를 소중하게 발굴해서 반드시 추념하겠다”며 “본격적으로 기념관을 추진할 때 광복회와 기획 단계부터 긴밀하게 소통해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제안한 김호동 광복회 경기도지부장은 “무장투쟁뿐 아니라 언론·출판, 문화·예술 등 모든 영역에서 다양한 방법의 독립운동 활동을 조망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 지부장은 ▲연대와 협력(네트워킹) ▲국내 설계사 건립 ▲국내외 독립운동 망라 ▲지역 향토사 반영 ▲비선형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콘텐츠(가상현실 등) ▲관객과 상호작용하는 형태의 전시장 ▲교육, 추모, 기념, 문화 등 융·복합 공간 등 구상을 제안했다.

 

도는 이를 토대로 마스터플랜 연구(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해 건립 지역, 콘텐츠 내용, 전시 방식, 공간 구성 등 계획을 세울 전망이다.

 

다만 김 지부장은 “착공 시기를 앞당기는 것보다 오류 없는 유물·유품·사료 수집, 전문성 제고, 기념관 정체성 확립 등 설계단계에 공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 길원옥 할머니는 1998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된 이후 국내외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역사를 알리고 전 세계를 돌며 전시 성폭력 피해자 인권 회복에 힘썼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