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8.3℃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8.8℃
  • 맑음대전 9.3℃
  • 맑음대구 13.1℃
  • 맑음울산 12.4℃
  • 맑음광주 10.9℃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8.1℃
  • 맑음제주 13.2℃
  • 맑음강화 7.2℃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10.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속도와 안정성 최우선"...도시정비사업, ‘수의계약’ 대세로

복수 건설사 경쟁 사라지고 단독 입찰 속출
조합·건설사 “시간·비용 줄이자” 이해 맞아
부동산 침체에 ‘신뢰할 파트너’ 찾는 흐름
공정성 우려에 일부 지자체 관리·감독 강화

 

도시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방식이 ‘수의계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과거에는 복수의 건설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던 공개입찰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단독 입찰과 유찰이 잇따르며 수의계약이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는 모습이다.


1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권은 물론 강북, 지방 대도시에서도 수의계약 전환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건설사들은 출혈 경쟁을 피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고, 조합들도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의계약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서울 강남 개포주공6·7단지 재건축은 두 차례 열린 현장설명회에 현대건설만이 단독 참여하며 수의계약 절차에 돌입했다. 용산 한남5구역도 두 차례 입찰에 모두 참여한 DL이앤씨와의 수의계약이 유력하다. 잠실우성1~3차 역시 GS건설 단독 입찰이 예상되면서 같은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서울 강북권에서도 분위기는 다르지 않다. 미아9-2구역 재건축 사업은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두 차례 단독 입찰에 나서며 수의계약 전환 가능성이 커졌다. 양측은 조합과 오랜 네트워크를 형성해온 데다, 입찰 재허용 이후 가장 먼저 참여 의사를 밝히며 시공권을 사실상 확보한 셈이다.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도 시공사 재선정을 앞두고 단독 입찰 가능성이 부상 중이다. 경기 침체로 건설사들의 ‘선별 수주’ 기조가 강화된 가운데 현대엔지니어링은 내부 검토 끝에 입찰을 포기했고, 현재 한화 건설부문만이 입찰을 준비 중인 상황이다.


한화 건설부문은 앞서 열린 현장설명회에 참여한 10여 개 건설사 중 유일하게 수주 의지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사업 역시 단독 입찰 및 수의계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수의계약은 건설사 입장에서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경쟁 없이 안정적인 수주가 가능할 뿐 아니라, 초기 설계부터 참여하며 공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일부 대형 건설사는 조합 설립 초기부터 관계를 형성해 수의계약으로 유도하는 전략도 펼치고 있다.

 

제도적으로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현행 도시정비법은 입찰에 2곳 미만이 참여하면 유찰로 간주하고, 동일 조건으로 두 차례 유찰 시 조합이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 서초구 신반포4차 재건축은 삼성물산 단독 입찰로 두 차례 유찰된 끝에 수의계약이 성사됐다. 총 공사비는 약 1조 310억 원에 달한다.

이 같은 수의계약 선호 현상은 급등한 공사비 부담도 배경으로 작용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이후 공사비지수는 약 30% 상승했고, 인건비는 공사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시중노임단가는 2년 사이 16% 이상 올랐다.

 

다만 수의계약의 확산이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정 건설사에 유리한 계약 체결 가능성과 조합원 간 정보 격차로 인한 갈등이 대표적인 문제다. 이에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수의계약을 예외적인 방식으로 제한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업계는 당분간 수의계약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금리, 자재비 상승,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대내외 악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입찰 무산 현장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최저가 낙찰’이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는 흐름이 주를 이루고 있다”며 “조합과 건설사 모두 실익을 중시하는 분위기 속에서 수의계약은 하나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굳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