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4일 더불어민주당 국민참여경선(권리당원 투표 50%, 여론조사 50%) 룰에 대해 “후보자들 간 전혀 협의가 없었다”고 일갈했다.
김 지사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경선 룰에서조차 다른 후보들을 포용하면서 건전한 경쟁을 하지 못한다면 국민들이 보기에 아름답지 못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국민들이 참여해서 축제로 하는 완전국민경선이 민주당의 원칙이자 전통”이라며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심지어 이재명 후보도 지난번 경선에서 이 룰로 당선됐다”고 했다.
‘일반 국민에게까지 투표권을 열어주면 당원의 대표성이 부족해지고 역선택 우려가 크다’는 지적에 대해선 “룰을 바꾸기 위한 핑계”라고 잘라 말했다.
김 지사는 “12·3 계엄, 탱크도 막은 국민이다. 우리 국민 의식을 믿어야 한다”며 “많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 더 큰 선거를 거둘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 출마설에 대한 쓴 소리도 내놨다.
김 지사는 “(출마한다면) 염치없는 일”이라며 “지금 한 총리 포함 일부 국무위원들은 내란 방조 내지는 동조 혐의를 받고 있지 않나. 총리로서 일말의 책임을 느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혹시 나온다면 저와도 가까운 공직 선배니까 저는 ‘한 선배님 나오지 마십시오. 그나마 갖고 있는 좋은 이름 간직하십시오’라고 만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경제통’ 대선 후보로서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김 지사는 “이번 대선에서는 경제를 살리는 지도자가 나와야 한다”며 “저는 미래 먹거리를 만들고 국민 삶을 제대로 살게끔 하는 면에서 경제 최고 전문가라고 자부한다”고 밝혔다.
이어 “저는 이론도, 실제도 대한민국 경제 운영을 책임졌었다. IMF 위기, 국제 금융 위기를 극복한 경험이 있는 만큼 경제 회복에 앞장서겠다”고 힘줘 말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