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DMZ 평화누리길을 세계적 명소로 키운다.
14일 도에 따르면 이달부터 2025년 평화누리길 명소화 추진계획을 시행한다.
DMZ 평화누리길은 도가 김포, 고양, 파주, 연천을 잇는 대한민국 최북단에 조성한 12개 코스로 총 189㎞ 규모다.
도는 김포, 연천, 파주, 고양 등 4개 지역에 있는 평화누리길을 중심으로 역사, 민담, 유래 등을 활용한 이야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야기는 역사·문화, 생태자연, 관광코스 등 3개 주제로 개발한다.
역사·문화 주제로는 연천 주상절리에서 진행된 금굴산 전투 등 한국전쟁 이야기를 담은 ‘한국전쟁길’, 김포 덕포진 ‘조선길’ 등 특정 장소에 새로운 이름과 이야기를 붙인다.
관광코스 주제로는 도가 지난해 선정한 평화누리길 주변 3개 관광코스에 이야기를 추가한다.
3개 관광코스는 ▲대명항, 지역맛집, 덕포진(조선시대 군사 요충지)을 잇는 김포시 1코스 ▲오두산통일전망대, 헤이리 예술마을을 잇는 파주시 6·7코스 ▲장남교, 호로고루(옛 고구려 성곽), 사미천교, 노골리 쉼터를 잇는 연천군 10코스다.
도는 경기관광공사를 통해 이야기를 개발 중이며 올 가을부터 이야기 개발이 완료된 곳부터 이야기 안내판을 설치하고 해설사 등을 통해 탐방객들에게 전파할 계획이다.
아울러 팸투어(초청홍보여행) 같은 국내외 홍보 정책을 확대해 평화누리길을 홍보한다.
도는 오는 6월부터 평화누리길 걷기 프로그램을 8회 운영할 계획이다. 회당 참가 대상은 언론인, 평화누리길 카페 우수회원, 학생, 도민 등 40여 명이다.
프로그램은 평화누리 체험, 지역 특산물 음식 체험 등으로 구성된다.
이밖에 평화누리길 12개 코스 안내 지도 제작·배포, 평화누리길 굿즈·굿즈 자판기 추가, 다국어 홍보영상과 지도 제작·보급을 추진한다.
박미정 도 DMZ정책과장은 “평화누리길에 많은 관광객이 체류할 수 있도록 걷기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코스별 선택과 집중을 통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평화누리길이 세계적 명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