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양적완화? 그런 뜻 아니었다”…이창용 발언 파장에 한은 수습 진땀

시장선 금리 인하·자산시장 부양 기대감
한은 “자산 과열·외환 불안 우려 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언급한 ‘양적완화’ 발언의 여진이 금융시장과 부동산 시장에 번지자, 한국은행이 해명과 진화에 나서고 있다. 양적완화를 도입할 경우 통화가치 하락과 자본 유출, 자산시장 과열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경고까지 내놓으며 확대 해석을 차단하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은 13일 공식 블로그에 올린 해설 글을 통해 “한은이 대차대조표를 확대해 본원통화를 대규모로 공급하는 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할 경우, 비기축통화국인 한국은 외환시장 불안정성과 자본 유출 압력에 노출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국채 발행량이 적은 편이라 채권시장 왜곡 가능성도 있으며, 신용 창출 과정에서 자산시장 과열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해명은 이 총재가 지난달 30일 한국금융학회와 공동 개최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에 근접하면 양적완화 정책 도입 여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언급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 발언 이후 시장에서는 “한은이 양적완화를 검토 중”이라는 해석이 급속도로 확산됐고, 국고채 금리는 연중 최저치로 떨어졌다.

 

부동산 시장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일부 블로그와 투자 커뮤니티에서는 “정권 교체와 맞물려 유동성 장세가 열릴 수 있다”는 전망이 퍼졌고, ‘지금이라도 집을 사야 한다’는 글이 SNS와 메신저 단체방을 통해 급속히 공유되기도 했다.

 

한은은 곧바로 해명자료를 내고 “현재 양적완화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 총재도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당시 언급은 중장기적 통화정책 수단을 고민해야 한다는 일반론적 발언이었다”며 “현재 정책 방향과 연결하는 것은 과도한 해석”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최근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한국은행이 하반기부터 완화적인 통화 기조로 돌아설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양적완화 논란도 이러한 시장 심리와 맞물려 과잉 반응으로 이어졌다고 본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시장금리가 이미 선제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은 총재의 한마디가 정책 시그널로 해석되는 국면”이라며 “금리, 유동성, 자산 가격이 모두 민감하게 연동되고 있어 통화당국의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