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충전시설의 설치 위치에 따라 화재 확산 위험이 커지고 있어, 설치위치 변경 등 구조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하남지역 공영주차장의 전기차 충전설비 중 상당수가 지하에 설치돼 있어 안전기준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21일 한국소비자원과 지자체에 따르면, 하남시 공영주차장 내 전기차 충전시설은 총 37개소 109기 중 지상에 78기, 지하에 31기(28.4%)가 설치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평균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지하 설치 비율이 높은 일부 지역은 화재 발생 시 확산 및 진화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특히 덕풍공원 제1·2·3 공영주차장에 설치된 충전시설 4곳은 모두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미사보건센터 내 설치된 3곳과 천현동 꿈나무공원 내 2곳 역시 지하에 설치돼 있다.
하남시청 공영주차장의 경우, 충전시설이 지상과 지하에 각각 8기씩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화재가 일반 차량보다 진화가 어렵고 고열 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는 특성상,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고는 인명 피해와 연쇄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이격거리가 짧은 주차장 구조에서는 불길이 인접 차량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어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전기차 충전설비의 안전기준으로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이 어렵고 연소 확대 위험이 큰 지하보다는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지상 설치를 권고하고 있다.
앞서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3월 전기차 전용 주차구역 화재안전 조사를 통해 “지하 주차장 내 충전설비는 화재 대응에 취약하다”며 전기차 특성을 반영한 안전기준 마련을 관계부처에 요구한 바 있다.
특히 “충전설비 간, 인접 차량 간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환기 및 소화설비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과정에서 편의성과 효율성뿐만 아니라, 화재 안전 기준을 제도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공영주차장 신축 및 리모델링 과정에서도 관련 안전 권고가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침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하남시는 “향후 전기차 충전시설 확대 계획과 함께, 충전설비의 지상 설치 전환과 관련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