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국내 지방정부 최초로 구축한 고정밀 환경·기후·에너지 종합관리 시스템인 ‘경기기후플랫폼’을 28일 공식 개시했다.
경기기후플랫폼은 항공 라이다(LiDAR), 위성영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기후·환경·에너지 정보를 통합 분석하고 공공기관, 기업, 도민에게 실시간 제공하는 종합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광역 도시생태현황지도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등 공간정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 ▲중소기업 기후경영서비스 ▲기후재난 현황 및 위험지역 예측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한다.
공공기관은 플랫폼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사태 위험지역 지정 등 재난대책 수립, 탄소중립 목표 이행 관리, 등 과학적데이터 분석 기반 정책 수립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기업의 경우 기후경영서비스를 이용하면 복잡한 절차 없이 사업장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진단 보고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전력사용 패턴 분석을 통한 최적 요금제 추천도 가능해 전기요금 절감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도민에게는 기후위험 등급, 탄소중립 현황, 폭염대피소 위치 등의 정보가 제공될 예정이다.
방문 예정 지역의 산사태나 폭우 위험 등급을 확인하거나 폭염경보 시 인근 대피소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등 생활 밀착형 활용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탄소공간지도를 통해 지역별 연간 탄소배출량을 확인하고 대중교통 이용, 에너지 절약 등 생활 속에서 실천가능한 기후행동을 독려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건물지붕, 유휴부지 등에 태양광 도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환의 경제적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이날 도청에서 열린 개시 행사에는 경기연구원, 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등 전문가들이 참석해 플랫폼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기후문제 해결의 선결 조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후·에너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경기기후플랫폼이 앞으로 최적의 기후위기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기후종합진단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2023년 “도내 건물에서 나오는 에너지양, 탄소 배출량, 탄소 저감 수준, 신재생에너지 생산 잠재력 등을 볼 수 있는 플랫폼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도는 경기기후플랫폼 외에도 11월 발사 예정인 기후위성, 전 도민 기후보험, 도민참여형 기후펀드 등 ‘기후경기 3대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 기반 기후위기 대응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김우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