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청도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인근에 있던 작업자 7명을 쳐 2명이 숨지고 5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19일 오전 10시 52분쯤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동대구역을 출발해 경남 진주로 향하던 무궁화호 열차(제1903호)가 선로 근처에서 작업을 위해 이동중이던 근로자 7명을 뒤에서 치었다.
이 사고로 열차에 치인 작업자 7명 중 2명이 사망하고 나머지가 중경상을 입었다. 부상자 중에는 상태가 위중한 사람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상자들은 경주 동국대병원, 경산 세명병원, 안동병원 등에 이송됐다. 사망한 근로자들은 청도대남병원에 임시 안치됐다.
사고를 당한 근로자 중 6명은 구조물 안전점검 전문업체 소속이며, 1명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소속이다. 사망자 2명은 안전검검 업체 소속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최근 폭우로 생긴 경부선 철도 남성현역~청도역 구간 비탈면 구조물 피해를 맨눈으로 점검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었다.
사고 열차에는 승객 89명이 타고 있었으며 부상자는 없다.
탑승자 박모 씨는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지점에서 사고가 발생했다"며 "승무원을 통해 사고 피해 상황을 안내받았다"고 언론에 전했다.
사고 열차는 이날 낮 12시 44분쯤 다시 출발했으나 현장 감식 등 추가 조치로 상·하행 양방향 열차가 1개 선로로 운행 중이다.
이날 오후 2시 기준 해당 구간에서 KTX 6편이 20~50분가량 지연됐고 일반 열차는 12편이 20~60분가량 지연 운행했다.
코레일은 주변 역과 열차에 지연 안내 방송을 하고 승객들에게도 개별 문자 메시지 등을 이용해 열차 이용 전 홈페이지나 '코레일톡'을 통해 열차 운행 현황을 확인해 줄 것을 알렸다.
이번 사고는 관리 소홀에 따른 안전사고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통상 선로 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이 이동할 때는 철길이 아닌 노반(철도 궤도를 부설하기 위한 토대)을 따라 이동한다. 노반에서 이동하면 사고가 날 일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열차 통과 시간에 근로자들이 선로 주변을 걷고 있었던 점 등을 들어 이번 사고가 현장 안전관리 소홀이나 대피 신호체계 오작동에서 비롯됐을 것으로 추정한다.
또 사고 구간이 곡선 구간이어서 열차 기관사가 사고 직전까지도 작업자를 발견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사고가 난 곳은 곡선 구간에서 120m가량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열차는 소음이 적은 전기 열차였다.
소방 관계자는 "사고가 난 열차가 전기로 움직이는 탓에 소음이 크지 않아 근로자들이 열차 접근을 인식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열차는 근로자들을 뒤쪽에서 덮쳤다.
김중진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열차가 접근할 때 작업자들이 선로 주변을 걷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문제로 전형적인 인재로 보인다" 며 "통상 선로 주변에서는 열차가 들어오기 전이나 완전히 지나간 후 작업자들이 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고 당시 대피 신호체계가 제때 작동했는지, 현장 감독자가 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를 제대로 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고 직후 국토부는 철도안전정책관, 철도안전감독관, 철도경찰 등으로 초기 대응팀을 구성해 현장에 급파해 복구를 지원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업무수행에 있어 철도안전법 등 위반 사항이 있었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위법사항 발견 시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중히 조치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구고용노동청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등에 대한 수사에 들어갔다. 대구노동청은 광역중대재해수사과, 산재예방지도과, 건설산재지도과 등으로 조사팀을 구성해 조사하는 한편 현장에 대한 작업 중지 조치 등도 할 예정이다.
경찰도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 한편 다친 근로자 등을 상대로 소속 회사와 작업 책임자 등이 철도안전법 등 관련 법에 따른 안전조치를 했는지 등도 살펴보고 있다. 수사는 경북경찰청 광역수사대가 맡는 것으로 전해졌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