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날인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을 멈춘 가운데 복구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27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내에 있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 이온배터리 전원을 작업자가 끄고 약 40분 지난 전날 오후 8시 20분쯤 알 수 없는 이유로 배터리에서 불꽃이 튀며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열기로 전산실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장치가 작동을 멈추자 서버 등 장비 손상을 우려한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복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모두 차단했다.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광주·대구센터를 합쳐 정부 업무서비스 기준 총 1600여 개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화재 진압에 시간이 오래 걸려 정확한 피해 현황 파악이 어렵다는 점이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한번 불이 나면 꺼지기 어렵고 불이 꺼진 것처럼 보이더라도 다시 살아날 수 있다. 또 배터리 내부 단락으로 온도가 급상승하는 '열폭주' 현상이 이어지면 온도가 순간적으로 섭씨 1000도까지 치솟을 수 있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아직 열기가 남아 있어 소방에서 안전 상의 이유로 전면 출입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며 "열기가 빠진 뒤 진입해 서버를 재가동하고 손상 여부를 점검해야 해 복구 시점을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대전·대구·광주 3개 센터로 이뤄진 국정자원 가운데 대전·광주는 재해복구 시스템이 일부 구축돼 있으나 최소한의 규모에 불과하고 스토리지만 있거나 백업만 있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시스템별로 조금씩 다르게 돼 있어 시스템별로 재해 복구 시스템을 가동할지 원시스템을 복구할 건지를 판단해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일단 복구 작업에 착수하는 대로 국민 파급효과가 큰 1~2등급 정보시스템부터 우선 복구를 시도할 방침이다. 국가 정보시스템은 이용자 수나 파급 효과 등을 따라 1~4등급으로 분류된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