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2021학년도 불법찬조금 예방계획’을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예방계획에는 올해 2월 외부교육전문가, 변호사, 교육청 업무담당자 등 10명이 참여한 ‘불법찬조금 예방 전담팀’에서 도출한 예방대책을 반영했다. 주요 예방 대책으로는 ▲새 학기 초 불법찬조금 발생사례와 청탁금…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기점으로 신천고가 지역사회에서 하나의 롤모델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Q.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로 선정된 소감은. = 선생님들이 정확한 인식을 했던 것 같다. 고교학점제라는 국가적인 트렌드를 읽고 공감했다는 것과 신천고등학교가 구도심 변두리에 있다보니 변화…
“아이들의 지적호기심이 높아졌어요. 선생님들도 수업하기 좋은 환경이 됐다고 만족해합니다. 고교학점제의 영향이 아닐까 싶어요.” 딩동댕. 학교 종이 울리면 학생들은 다음 강의 수강을 위해 분주히 움직인다. 1년 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도입 이후 신천고등학교의 가장 달라진 점이다. 학생 스스로 희망…
Q. 고교학점제의 역할은 무엇일까. = 미래 사회는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 소통하고 공감하는 능력, 상호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력, 융합적 사고력, 창의력과 통찰력 등을 키워가는 교육방식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한 첫 번째 계단이 고교학점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학부모의 기대에 부응…
김포 사우고등학교 학생들은 새 학기가 시작되면 사우고 로고가 새겨진 스터디 플래너를 받는다. 학생들은 각자만의 시간표를 맨 앞장에 작성한다. 플래너에는 ‘내 꿈을 소개합니다’, ‘나의 꿈을 이루기 위해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할까?’ 등의 제목을 한 에세이 공간이 마련돼 있다. ■ 1년간 스스로 기록…
“광주에서 태어나고 자랐습니다. 이 곳 실정을 잘알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과 협력해 남은 기간도 광남고등학교에서 좋게 마무리하고 싶습니다.” Q.광주 광남고등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특색사업은. =저희 학교는 2009년에 개교해 2011년부터 교과교실제를 실시했다가 2018년에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에…
광주지역의 선도적 혁신학교인 광주 광남고등학교는 학생들이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는 최적의 교육환경을 위해 2018년부터 고교학점제를 도입했다. 2011년부터 선진형 교과교실제를 시행해 온 광남고는 그동안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 중심 교과과정을 편성해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적응해왔다. 물론 고교학점…
수원 태장고등학교는 학생중심 공간 재구성의 일환으로 ‘태장 스터디 카페’운영을 시작했다. 이번 스터디 카페는 코로나19로 위축된 교육활동과 학생자치 활동을 극복하기 위해 학생자치회가 주도해 기획했다. 학생들은 학습과 휴식이 가능한 개방형 커뮤니티 공간인 스터디 카페 운영을 제안했고, 학생들…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이 오는 11월 25일까지 도내 초등학교와 특수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이동과학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농·산·어촌 및 소외지역 학교, 소규모 학교, 특수학교을 대상으로 과학문화를 확산하고 현장 중심의 과학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
이천교육지원청이 지난 27일 초·중·고 학생 67명과 길잡이 교사 11명과 함께 이천 몽실학교 마중물 활동 학생주도 프로젝트 기획 워크숍을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몽실(夢實)학교는 지역사회협력 미래형 청소년 자치 배움터로, 학생주도 프로젝트, 학생자치회 활동 등을 통해 학생이 스스로 삶의 주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