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라고 여길 만큼 일반화된 질병이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불안감이 지속되고, 집콕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에 따른 제한으로 ‘코로나블루’란 말이 생길정도로 우울증 확산이 커 개인별 우울증에 대한 관리가 더없이 중요할 때다. 우울증은 비교적 흔한 정신질환이지만 이로 인해 대인기피 및 사회부적응 등 여러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으며, 심하면 자살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뇌질환이다.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른 정신질환과 마찬가지로 생화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신체적으로 질병을 앓거나 호르몬 이상이 있을 경우 또는 유전, 낮은 자존감이나 완벽주의, 충격적이거나 부정적 사건으로 인한 경험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단순히 일시적인 우울감이 문제가 되지는 않으며, 기쁠 때 즐거워하고 슬플 때 힘겨워하는 감정은 자연스럽고 건강한 일이다. 하지만 우울증은 식욕이나 수면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고, 주관적인 고통의 감정으로 매우 힘들다는 증상을 지속적으로 느낀다. 이에 주부라면 살림을 전혀 신경 쓰지 못하거나, 직장인이라면 업무에 몰두를 할 수 없는 등
두통은 살면서 누구나 한번쯤 경험할 만큼 꽤나 흔한 질환이다. 대부분 일정시간 휴식을 취하면 회복돼 가볍게 여기기 쉬운데, 두통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에 의존하고 있거나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자주 증상이 나타난다면 두통도 결코 소홀히 볼 수 없다. 두통은 일상의 크고 작은 스트레스로 나타날 수 있는 1차성 두통과 원인 질환으로 발생할 수 있는 2차성 두통으로 구분된다.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발성 두통이 1차성 두통에 해당되고 뇌출혈, 뇌졸중과 같은 뇌질환이나 내과 질환 등의 원인질병으로 나타나는 두통이 2차성 두통에 속한다.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긴장성 두통은 머리가 띠로 조여드는 느낌의 통증으로 통증의 정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금방 회복되는 편이다. 다만 안 좋은 자세나 머리와 목 근육의 긴장,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이 원인으로 약물이나 과도한 음주, 카페인 섭취로 심해질 수 있다. 편두통은 갑자기 일어나는 발작성 두통으로 개인마다 증상의 강도와 횟수가 다르게 나타나며 여성이나 두뇌노동자들에게 많이 발생한다. 군발성 두통은 1차성 두통 가운데 가장 심한 증상으로, 한 쪽 눈과 그 주변을 도려내는 듯한 통증이 특징인데, 무리 없이 회복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