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국가대표 배정훈(수원유스)이 제43회 대한볼링협회장배 전국남녀종별볼링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세 개를 목에 걸었다. 배정훈은 25일부터 31일까지 용인 엑스핀볼링라운지에서 열린 대회 남자 18세 이하부서 개인전과 개인종합, 마스터즈 1위를 차지하며 3관왕에 올랐다. 배정훈은 개인전서 6게임 합계 1574점(평균 262.3점)을 획득하며 김윤수(남양주 퇴계원고·1562점),와 최서진(성남 분당고·1545점)을 꺾고 패권을 안았다. 이후 개인전과 2·3·5인조전 개인 합산 기록으로 순위를 가리는 개인종합서 합계 5736점(평균 239.0점)을 기록한 배정훈은 김현수(인천 연수고·5494점), 김성혁(광주체고·5467점)을 가볍게 따돌리고 두 번째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배정훈은 개인종합 상위 10명이 경쟁을 펼치는 마스터즈서 합계 2296점(평균 229.6점)으로 백승균(분당고·2282점)과 김윤수(2280점)를 각각 14핀, 16핀 차로 따돌리고 정상을 차지해 3관왕이 됐다. 이밖에 여자 18세 이하부에서는 심예린(양주 백석고)이 3관왕에 올랐다. 심예린은 빅볼동탄에서 벌어진 여자 18세 이하부 개인전서 6게임 합계 1453점(평균 242.2점)으로 1위에
‘양손핸드볼러’ 배정훈(수원유스)이 2025시즌 청소년 국가대표로 선발됐다. 배정훈은 16일부터 23일까지 천안시 JK레인즈와 화성시 동탄빅볼서 진행된 2025년 청소년대표 선수 선발 결승전서 48게임 합계 1만 633점(평균 221.5점)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이번 선발전 1위부터 8위에게는 태극마크가 주어진다. 지난 16일 진행된 1일차 경기서 8게임 합계 1632점(평균 204점)을 마크하며 38위로 대회를 시작한 배정훈은 2일차 때 11위까지 도약했다. 이후 배정훈은 3일차서 8게임 합계 1807점을 기록, 24경기 합계 5254점(평균 218.9점)을 쌓아 6위로 도약했다. 4일차에 돌입한 배정훈은 뛰어난 기량을 과시하며 1위로 뛰어 올랐고, 안정적인 경기력을 펼치면서 선두를 굳게 지켰다. 정묘법 수원유스 감독은 “배정훈 선수가 1일차 때 신발 마찰 적응에 어려움을 겪어 낮은 순위로 시작했지만, 이내 적응하고 원래 기량을 보여줬다”며 “레인 적응은 문제 없었다. 2월에 있을 국가대표 선발전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신지호(양주 덕정고)는 48경기 합계 1만 531점(평균 219.4점)으로 배수현(경남 합포고)과 타이를 이뤄 공동 2위에
‘한국 남자 볼링 기대주’ 배정훈(수원유스)이 안방에서 열린 2024 국제볼링연맹(IBF)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수확했다. 배정훈은 18일 인천 피에스타아시아드볼링장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혼성 4인조 단체전 결승에서 이다은(대구 대곡고), 김성탁, 김보아(이상 한국체대)와 팀을 이뤄 한국이 스웨덴을 라운드 점수 2-1로 꺾고 우승하는 데 앞장섰다, 한국은 마야 엔버그, 노라 요한손, 칼 에클룬드, 로빈 일하마르로 구성된 스웨덴 혼성 대표팀을 상대로 첫 라운드를 248-192로 따낸 뒤 2라운드를 201-236으로 내줬지만 마지막 라운드에서 267-219로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으며 이번 대회 한국에 첫 메달을 선사했다. 한국은 앞서 배정훈이 남자 개인전, 강예영(단국대)과 이다은이 여자 2인조전, 배정훈-신지호(양주 덕정고)-김성탁-조용훈(충남 천안시청) 조가 단체전에서 모두 동메달만 수확했다. 지난 10일 개막한 이번 대회에는 이날 혼성 4인조 단체전을 마지막으로 경기 일정을 모두 마쳤다. 이번 대회에는 아시아 16개, 아프리카 2개, 유럽 14개, 미주 지역 7개 등 전 세계 39개 나라에서 400여 명의 선수와 임원이 참여했다. [ 경기신
한국 볼링 청소년대표팀이 안방에서 열린 2024 국제볼링연맹(IBF)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 남자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수확했다. 대한볼링협회는 지난 16일 인천 피에스타아시아드볼링장에서 열린 대회 남자 단체전 준결승전에서 배정훈(수원유스), 신지호(양주 덕정고), 조용훈(성남시청), 김성탁(한국체대)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이 미국에 라운드 점수 1-2로 패해 3위를 차지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은 제이컵 복스티, 브랜던 본, 잭 안드레센, 브레이든 멀러쉬로 구성된 미국팀에 첫 라운드(236-215)를 따냈지만 이후 2라운드를 187-236로 패한 뒤 3라운드도 188-197로 내주며 결승행이 좌절됐다. 이로써 대표팀은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 대회는 준결승에서 패한 선수 모두에게 동메달을 수여한다. 지난 10일 개막한 이번 대회는 18일까지 열린다. 21세 이하의 선수들이 출전한 이번 대회에는 남녀 개인전·2인조전·단체전과 혼성단체전이 진행됐다. 아시아 16개, 아프리카 2개, 유럽 14개, 미주 지역 7개 등 전 세계 39개 나라에서 400여 명의 선수와 임원이 이번 대회에 참가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앞서 배정훈이 남자 개인전에 출전해 동메달을 땄고 여자2인
프로축구 K리그2 성남FC는 구단 유스팀(U-15) 신임 사령탑으로 권순형 감독을 선임했다고 14일 밝혔다. 권순형 감독은 K리그 통산 373경기 출전한 베테랑 선수 출신으로 2009년부터 강원FC, 제주 유나이티드, 상주 상무에서 활약했고 2020시즌 성남에 합류해 지난해 만 37세의 나이로 은퇴했다. 구단은 권순형 감독의 풍부한 프로 경력과 2020년부터 성남FC와 함께하며 구단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점, 무엇보다 유소년 육성에 대한 방향성이 구단과 동일하다는 것을 높이 평가했다. 권순형 감독은 선수 시절 팀의 고참으로서 성실함과 올바른 품성을 바탕으로 팀 동료들에게 모범이 됐고, 꾸준한 지도자 준비를 통해 지도자 라이센스 AFC/KFA LICENCE A급을 보유하는 등 일찍이 선수 육성에 대한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진다. 권순형 감독은 “성남과 다시 함께할 수 있어서 영광이다. 성남에서 뛰었을 때도 재능있는 유스 출신 프로선수들이 많이 있었다”며 “기존의 U-15 코칭스태프와 함께 성남 유소년 육성 시스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성남FC에서 프로 생활을 마무리하고 다시 성남FC 유소년 지도자로 새 출발을 시작한 권순형
프로축구 K리그2 수원 삼성이 2부 리그 구단 중 가장 많은 선수를 등록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지난 8일 하나은행 K리그 2024 선수 정기 등록을 마감한 결과 총 936명이 등록했다고 11일 밝혔다. K리그1에서는 489명이 등록했고, K리그2에서는 447명의 선수가 등록을 마쳤다. 올 시즌 등록 선수 수는 지난해 정기 등록 925명보다 11명 늘었으며 이 중 국내 선수는 834명, 외국 선수는 102명이다. K리그1 12개 구단의 평균 선수 수는 40.7명이고, K리그2 13개 구단의 평균 선수 수는 34.3명이다. K리그2에서 가장 많은 선수를 등록한 구단은 수원 삼성으로 총 44명을 보유했다. 수원은 자체 구단 유스 출신도 19명이 등록해 유스 시스템을 가장 활발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에 이어 충남아산이 38명을 등록해 K리그2에서 두번째로 많은 선수를 보유했고 경남FC가 37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김포FC와 부천FC1995, FC안양은 각각 34명의 선수가 등록했고, 안산 그리너스FC가 33명, 성남FC가 32명의 선수로 팀을 구성했다. K리그1에서는 전북 현대가 49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 하나시티즌이 46명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의정부문화재단은 수능생을 위한 의정부유스오케스트라 공연과 아르츠 성탄마켓으로 성탄절 연휴를 풍성하게 채웠다고 밝혔다. 의정부문화재단은 올해 6월 문화예술 저변확대로 문화 역량 향상의 뿌리가 될 차세대 음악인 발굴 프로젝트 의정부유스오케스트라를 창단해 다양한 테마로 시민들을 위한 무료 공연을 펼쳤다. 특히 지난 22일 수능생을 위한 ‘장일범과 함께하는 해설 음악회’로 수험생활로 지친 수험생들을 위로하고 응원했다. 음악평론가 장일범의 해박한 지식과 유쾌한 입담으로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이날 공연에서는 차이코프스키 ‘로미오와 줄리엣 환상 서곡’과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1번 71a등 대중들에게 폭넓은 사랑을 받아온 작품들로 구성됐다. 우리에겐 퀴즈 프로그램 시그널 음악으로 친숙한 하이든 트럼펫 협주곡의 대표적 걸작 ‘3악장 내림 마장조’를 트럼펫 김주원이 협연자로 참여했고, 리로이 앤더스의 ‘나팔수의 휴일’을 의정부유스오케스트라 단원 이찬현, 이승호가 함께 연주해 그동안 쌓아온 의정부유스오케스트라의 역량을 한껏 발휘했다. 또한 22일부터 25일까지 의정부예술의전당 야외에서 공연장을 찾는 관객들에게 수제 과일청으로 만든 향긋한 차와 군고구마, 어묵 등의 간
이정현(수원유스)이 2023 안산 단원김홍도컵 OPEN 볼링대회에서 2관왕에 올랐다. 이정현은 29일 안산시 제일볼링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초등부와 가족부에서 모두 정상을 차지해 금메달 두 개를 목에 걸었다. 이정현은 남초부 개인전에서 4게임 합계 843점(평균 210.8점)으로 류서진(양주 G스포츠클럽·824점)과 같은 클럽 소속 이영국(817점)을 따돌리고 우승을 자지했다. 이어 아버지 이상채 씨와 ‘볼링의신’으로 팀을 이뤄 출전한 가족부에서 4경기 합계 1755점(평균 219.4점)을 회득한 이정현은 ‘뽈치는토끼용’의 이영국-이승현 조(1511점)와 '가평부자'의 조성하-조석현 조(1510점)를 가볍게 누르고 정상을 밟아 2관왕에 올랐다. 여초부 개인전에서는 유서윤(고양 G스포츠클럽)이 4경기 합계 783점(평균 195.8점)으로 같은 팀 소속 임아임(734점)과 김소희(하남 G스포츠클럽), 노서연(이상 731점·고양 G스포츠클럽)을 누르고 우승했다. 한편 앞서 진행된 클럽부 경기에서는 홍진호(TEAM B.C)가 2관왕에 등극했다. 홍진호는 권용덕, 주은주와 팀을 이뤄 출전한 클럽부 3인조전에서 TEAM B.C가 4경기 합계 2957점(평균
배정훈(수원유스)이 제42회 대한체육회장기 전국단체대항볼링대회 마스터즈에서 패권을 안았다. 배정훈은 30일 전남 목포시 대화볼링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남자 19세 이하부 마스터즈에서 합계 2234점(평균 223.4점)으로 강지후(안양 평촌고·2189점)와 김선우(남양주 퇴계원고·2163점)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배정훈은 남자 19세 이하부 개인전(938점)과 2인조전(871점), 3인조전(813점), 5인조전(938점)을 모두 합한 개인종합에서 3560점(평균 222.5점)으로 우승한 데 이어 대회 2관왕에 올랐다. 또 6월 제37회 대한볼링협회장배 전국남녀학생볼링대회와 7월 제38회 대통령기 전국볼링대회 마스터즈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배정훈은 이날 우승으로 시즌 세 번째 마스터즈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한편 수원유스는 배정훈의 활약에 힘입어 금 2개, 은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 평촌고(금2·은1)와 양주 덕정고(금1·은1)를 누르고 남자 19세 이하부 종합우승을 달성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양주 덕정고가 제42회 대한체육회장기 전국단체대항볼링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덕정고는 28일 전남 목포시 드림볼링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사흘째 여자 19세 이하부 3인조전에서 왕지연, 백예담, 신다현으로 팀을 꾸려 4경기 합계 2433점(평균 202.8점)으로 창원 문성고(2524점)에 뒤져 준우승했다. 한편 전날 진행된 남자 19세 이하부 2인조전에서는 수원유스 김민준-문상현 조와 배정훈-정우현 조가 각각 4경기 합계 1743점(평균 217.9점)과 1738점(평균 217.3점)을 기록, 백승우-박찬우 조(김해 대청고·1760점)에 이어 나란히 2위와 3위에 입상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