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일 동해선 강릉∼제진 철도 건설사업 착공 현장에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하루 전 참모들에게 해당 행사에 담긴 국가균형발전의 취지를 부각해줄 것을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9일 SNS에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이 같은 사실을 전했다. 행사 당일인 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맞물려 '북한의 도발에도 남북철도협력을 강조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비판에 청와대는 균형발전에 무게를 두고 일정을 준비했다는 입장이다. 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행사 전날인 지난 4일 자신과 박경미 대변인을 불러 "내일 착공식참석을 언론이 어떤 관점으로 보도할지 궁금하다"고 말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새해 첫 현장 일정으로 강원도 철도 착공 방문을 선택한 것은 낙후지역에 대한 국가균형발전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며 "관광산업 활성화와 유라시아로 뻗어갈 경제철도의 의미에 언론이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그러나 이날 대다수 언론은 문 대통령이 남북철도협력을 강조했다는 데에 초점을 맞춰 보도를 했다. 이를 두고 박 수석은 "(이 행사를 다룬 기사 중) 국가균형발전을 강조한 기사는 많지 않았다. 착공식에 남북정상회담의 결과
 
								
				수인선이 폐선된 지 25년 만에 다시 개통돼 오는 9월 12일 전 구간 첫 운행을 앞두고 있다. 이로 인해 1시간 30분 소요되던 인천~수원간 전철 이동시간이 50분대로 축소되면서 수도권 남부 순환 철도망이 구축됐다. 수원구간은 수인선 3단계 구간으로 수원지역에는 고색역과 오목천지역을 지난다. 화성시 구간에는 어천~야목~사리를 지나, 안산 한대앞역으로 연결된 20km이다. 수인선 총 52.8㎞ 구간으로 1단계는 2012년 인천 송도~시흥시 오이도 구간이, 2단계는 2016년 인천~송도 구간이 개통됐다. 안산구간은 기존 도시철도를 그대로 이용한다. 수인선 전 구간이 개통되면 인천~구로~수원 간 지하철로 90분이었으나 인천~수원 간 55분으로 35분이 단축된다. 청량리역과 인천역의 직결기점인 수원역에서 모두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또 수인선과 분당선이 직결되면서 인천~수원~왕십리 간 노선의 길이는 102.1㎞로 늘어난다. 경부선 광운대~신창(133.5㎞)과 경의·중앙선 문산~지평(122㎞)다음으로 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도시철도 구간 중 3번째로 긴 노선이다. 수인선은 일제강점기인 1937년부터 수원~인천 구간을 운행했다. 일제가 수탈을 목적으로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