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업체와 협력업체에 대한 해외 바이어들의 탄소정보 요구가 크게 늘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일 ‘해외 바이어의 탄소정보 요구 추세 및 대응방안’이란 보고서에서 해외 바이어들이 요구한 탄소배출정보를 제대로 제출하지 못해 수출에 차질을 빚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IBM은 2012년까지 에너지 사용 및 탄소배출을 2005년 대비 12% 감축한다는 목표 아래 2008년부터 기업의 책임 및 환경보전을 위해 공급업체들에 매년 요청서를 보내 관련 정보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 델(Dell)은 2009년부터 공급업체의 탄소배출정보를 요구하고 있으며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거래대상 중 배제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수출기업인 I사는 해외 영업사원이 거래처 바이어가 요구하는 탄소배출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다가 수주 경쟁과정에서 누락되는 상황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유럽, 미주, 남미, 중국, 일본, 동남아 등으로 화학제품을 수출하는 J사는 기후변화협약 등 글로벌 시장 동향을 주시하며 2002년부터 탄소배출정보 관리를 시작, 올해 해외 바이어들이 요구한 100여건 정도의 탄소관련 정보에 대해 큰 어려움 없이 대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탄소정보 요구에 대한 방안으로 기존 환경관리시스템의 확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탄소·에너지경영시스템 구축, 탄소전략의 수립과 협력업체 지원 및 공급망 관리 등을 각 기업의 특성에 맞춰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장현숙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향후 5년 내에 제품판매를 위한 탄소배출정보 공개는 필수적 요소가 될 것”이라며 “탄소배출정보는 인벤토리 구축에만 수개월 이상의 기간이 걸리고 전문지식을 요하는 사안이 많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