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중소기업 정책자금이 3조2천억원 규모로 공급된다.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은 2011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기조를 ‘전략산업 분야 창업·성장초기기업 육성’에 중점을 두고 3조2천억원 규모로 운용할 계획이라고 23일 발표했다.
내년도 정책자금은 올해(3조1천억원) 대비 약 2.3% 늘어난 규모다.
특히 창업 및 성장초기기업 중심으로 정책자금 구조가 개편된다.
기술혁신형 창업, 성장초기기업 육성 및 서민생활 안정에 부합되는 창업·개발기술사업화 및 소상공인지원자금은 올해 1조6천억원에서 내년 2조1천억원으로 규모가 확대된다.
반면 시중은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신성장기반(업력7년이상) 및 긴급경영안정자금은 올해 1조5천억원에서 1조원으로 축소되며 자산유동화 지원은 P-CBO(채권담보부증권) 발행 지원사업(신용보증기금)으로 통합된다.
또한 우량기업은 정책자금 지원대상에서 제외되고 자금별 이용횟수가 제한된다.
‘매출액 500억원 이상이거나, 중진공 재무평가 F1 등급’인 우량기업은 시중은행 자금활용을 유도함으로써 시장경합성을 해소할 계획이다.
벤처기업, 녹색기술인증기업, 협동화승인기업, 재해기업 등 융자잔액한도(수도권 45억원, 지방 50억원) 예외 기업도 최대한도를 70억원 이내로 제한하며 수출금융 5년 초과 이용기업의 경우 졸업제를 내년 7월부터 적용한다.
이외에 저금리(1~2%)로 대출한 후 성장에 따른 영업손익을 공유하는 ‘이익공유형 대출’이 도입되고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인수하고 기업 성장에 따라 5~7년 후 주식으로 전환해 성과를 공유하는 ‘성장공유형 대출’을 확대하는 등 지원방식이 다양화된다.
중기청 관계자는 “내년도 정책자금의 기조는 녹색·신성장분야 등에 대한 창업을 촉진하고 성장초기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창출”이라며 “이를 위해 정책 목적성을 대폭 강화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자금 지원대상을 조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