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탄을 보관하는 ‘탄약지환통’의 군납 업체로 선정된 도내 A기업이 입찰 서류 등을 조작했다는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더욱이 해당 업체가 방위사업청으로부터 고발 조치된 지 4개월이 넘은 현재까지 시정은 커녕 납품을 계속하고 있어 방사청 내부자가 유착된 게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9일 방위사업청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방사청은 내부 감사를 통해 군납 업체로 선정된 A사가 지난 2009 탄약지환통 납품사업 입찰 시 제출한 수출신고필증 등을 조작한 혐의를 포착, 지난해 9월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검찰은 A사 대표 P씨와 수출 대행업체인 B사 대표 H씨를 상대로 수사를 벌였으나 H씨의 소재가 묘연해 현재 사건은 기소중지된 상태다.
관련업계에서는 방사청은 내부 감사를 통해 서류조작 등의 혐의를 포착하고서도 A사에 대한 행정조치는 커녕 A사의 납품을 계속 허용, 오히려 해당 업체가 매월 1억원 가량의 부당이득을 취하도록 간과했다는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A사에 근무했던 직원이 검찰 조사에서 A사가 2009년 입찰 당시 탄약지환통 생산능력이 전혀 없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히고 “방사청이 내부 감사를 통해 수사를 의뢰했고 서류 조작 의혹에 대해 A사가 해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납품을 계속하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업계 관계자는 “A사가 지난해 방사청과 15억원 규모의 연간 납품 계약을 체결해 매월 1억원 이상의 부당 이득을 취하고 있다”며 “군납 계약 시 을은 갑이 요구한 서류를 제시할 의무가 있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명시된 바 납품을 중단시키고 재입찰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방사청 내부 감사를 통해 문제가 있다고 판단, 수사를 의뢰했지만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아 행정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뿐”이라며 “서류 위조 등의 결과가 밝혀지면 행정처분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A사 P대표는 “이번 의혹은 전혀 사실 무근”이라며 “결과가 나오면 모든 것이 밝혀 질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방사청은 지난 2009년 A사가 군납업체로 선정된 이후 관련 업계로부터 A사가 서류 조작이 의심된다며 1년여 간 수 차례 문의 및 민원을 접수했지만 허위실적이 검증되지 않았다며 이렇다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