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가 신문발행부수 공사제도(ABC)에 준하는 홍보 정책을 정립해야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3일 시와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부천, 안산 성남·시흥시에 이어 최근 평택시 등 도내 지자체들이 잇달아 한국ABC협회가 공개한 발행부수에 따라 지방언론사에 대해 차등적으로 행정 광고 및 홍보 전략을 차별화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ABC협회가 공개한 발행부수를 기준으로 5천부 미만의 지방 언론사에 대해서는 홍보 효과가 미약하다는 판단에 따라 행정 광고를 차등 지급하고 있다.
이같이 한국ABC협회의 발행부수 기준 광고 배정은 지역 신문사 난립으로 말미암은 폐해를 줄이고 정부광고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광고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한국ABC협회 전년도 발행부수 검증에 참여한 신문잡지에 행정 광고를 우선 배정하도록 한 ‘정부광고 시행에 관한 규정 제6조(광고배정)’에 따른 것.
그러나 오산시는 이 같은 정책을 도입하지 않고 지난 해 유가부수 5천부 미만의 지방 언론사에 상당액의 광고비를 매년 배정하고 있으며 현재도 이 같은 정책을 유지하고 있어 광고 집행 기준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확인 결과 지난 해 한국ABC협회가 공개한 자료를 기준으로 유가부수가 3천부미만과 2천부미만의 언론사들에 대해서 막대한 홍보예산을 집행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한국ABC협회에 등록조차 하지 않고 실사도 받지 않은 모일간지에 대해서도 일천 만원에 달하는 광고비를 집행해 홍보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재정립 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역 신문은 시민들로부터 공신력을 높일 수 있어야 된다며 오산시가 지역신문에 대한 공정성제고와 시민들의 알권리에 대한 보장 등을 위해서라도 그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관계자는 전국지자체가 적극적인 ABC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만큼 “한국ABC협회가 공개한 발행부수를 기준으로 하는 광고 차등 지급의 필요성을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면서 “곧 내부 논의를 거쳐 정책 도입을 시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