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오산시의 정월 대보름 행사가 돈 퍼붓기 행사라는 지적을 받고 있는 가운데(본보 1월31일자 8면 보도) 행사를 주관한 오산문화원이 사후 정산자료를 제대로 제출하지 않는 등 불투명한 예산 집행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오산시와 시문화원에 따르면 시에서 정월대보름 행사 예산으로 문화원에 지원한 4천만원에 대한 보조금 정산서를 분석한 결과 불필요한 공연비로 1천500만원 이상이 중복 투입 됐다.
이로 인해 정월대보름 행사가 고유의 정체성을 잃고 문화행사 위주로 진행되며 불투명한 혈세가 낭비됐다는 지적이다. 대부분 지역별로 대보름행사에는 북청사자놀이, 달집태우기 깡통 돌리기 등 고유성을 가진 행사가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오산시의 경우 이날 투입된 예산중 무대시스템 및 이벤트비로 654만원이, 널뛰기나 줄타기공연으로 630만원이 추가 지출됐다.
또한 먹거리 장터운영에 격려금으로 150만원을 지원하고 당일 행사진행요원 식대로 170만원을 쓰는 등 형평성에 어긋난 예산이 마구잡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문화원이 제출한 회계장부 또한 증빙자료가 미비되는 등 행사예산 집행에 총체적인 부실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문화원 원장과 시청담당 부서도 모르는 만장기 제작을 특정단체에게 밀어줘 특혜시비까지 일고 있다.
이날 행사에 설치된 만장기는 130개 정도로 사회단체는 5만원, 기업체에게는 10만원을 받고 제작해주면서 당시 문화원측은 만장기제작 일체를 시 관내 C봉사단체에게 일임했다. 또한 이 단체에 먹거리 장터의 일부 운영도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민 박모(43·원동)씨는 “시민의 혈세로 치러진 행사가 일부 특정단체에게 일감 몰아주기식의 편법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전통행사를 저버리고 굳이 하지 않아도 될 행사에 막대한 예산만 지출해 혈세만 낭비한 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예산만 지원해주고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관할 시도 철저한 규명을 통해 시민들의 의혹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 이명재 시 문화원장은 “만장기 제작과 관련해서는 당시 사실을 전혀 몰랐다”며 “문제점을 보완해 차후에는 낭비요인 없이 알찬 행사가 되도록 관리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C단체 관계자는 “순수한 봉사단체로서 만장기 제작이나 먹거리 장터를 통해 창출된 수익은 불우이웃돕기에 전액 기부할 계획”이라고 해명하고 “봉사단체가 취지와는 다르게 갖가지 구설에 오르내려 유감스럽다”고 심경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