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오산시의 재난대비 비상근무 체계의 허점과 지역자율방재단의 기능 및 관리체계의 부실 등이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는 가운데(본보 20일자 1면, 23일자 8면) 시의 재난방지 시스템인 아마추어 무선통신장비가 무용지물로 방치돼 예산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 오산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3년 2천300만원을 투입, 아마추어 무선통신장비(HAM)와 야기아테나를 각각 재난안전상황실과 청사옥상에 설치했다.
하지만 이들 장비는 10년 가까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고 방치돼 상황실에 설치된 HAM 장비가 녹이 스는 등 예산만 낭비 했다는 지적과 함께 관리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또 이같은 통신장비를 이용해 재난 대비 예찰활동 등 상황보고를 하도록 만든 재난통신지원단 역시 지난 태풍 ‘카눈’ 상륙 당시 예찰활동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재난방재 관련 사회단체에 대한 관리감독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재난통신지원단은 오산시 자율방재단 소속으로 시로부터 매년 300~4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받고 있다.
주민 A씨(통신지원단 회원·42)는 “재난발생시 오산시청 재난관리과 상황실에 실시간 상황 보고하도록 만든 시스템이 관리부실로 인해 고물로 방치되고 있다”며 “재난통신지원단의 방재지원 활동에 대해 시가 타당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재난통신지원단장은 “이번 태풍상륙에 대비한 예찰활동을 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라면서도 “현재 정회원 60여명이 소속돼 재해발생시 나름대로 책임감을 가지고 꾸준한 예찰활동에 동참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지역자율방재단 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한 간담회를 열어 관련단체에 대한 관리감독 및 방재단원들의 봉사와 사명감 고취 등 협조를 당부했다”며 “아마추어 무선통신 장비의 효용성이 많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유사시 활용은 필수적인 만큼 활용 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지역자율방재단의 예찰활동 소홀과 관련해서는 “활동보고서를 근거로 확인조사와 관리감독을 통해 문제점이 나타나면 보조금을 중단하는 방안까지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