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가 학교통학버스 운행사업을 추진하면서 버스노선에 불법 유턴을 부추기며 학생들의 안전을 크게 위협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4일자 8면 보도) 관내 마을버스들이 종점을 기점으로 사용하면서 불법유턴이 공공연히 이뤄져 해마다 크고 작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산시 원동을 경유하는 마을버스는 종점에서의 불법유턴이 공식화 돼 있어 지난해 교통사고만 5건이 발생했고, 지난 2월에도 60대 노인이 사고를 당해 현재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
마을버스 종점에서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자 시가 교통체계변화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교통체계가 바뀌면 이에 따른 노선을 새로 조정해 불법유턴을 방지해야 할 시가 이를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동 푸르지오 아파트나 LG사원아파트의 경우 불법 노상주차와 맞물리면서 마을버스가 유턴할 만한 충분한 공간도 없이 불법유턴이 이뤄지고 있다. 학교와 어린이집 유치원이 밀집돼 있는 사원아파트의 경우 등하굣길 어린이들이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고 있어 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마을버스회사들은 이런 사고 위험을 그대로 떠 않은 채 울며겨자먹기로 운행을 계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되면 업체들은 패널티를 적용받아 과징금까지 물고 있는 상황이다.
마을버스 한 관계자는 “현재 이곳을 운행하는 마을버스 운전기사들이 사고위험에 시달려 운행을 꺼려하는 것은 물론, 이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는 사례도 발생되고 있다”면서 “시가 우회노선을 만들어 불법유턴을 못하도록 대책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이 문제를 교통심의위원회에 안건을 제출해 방안을 모색했으나 마을버스업체와 노선조율이 안 되고 있는 상태”라며 “노선을 변경해 우회할 경우 기존의 버스노선과 겹쳐 또 다른 민원이 발생되고 차가 밀려 배차시간도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시도 유턴문제나 사고 위험에 대해 안전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