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입학사정관제 교육부 입장 명확히 해야

대학입학사정관 제도는 도입 초기 논란이 없지 않았으나 대학입시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성적순에 의한 선발이 아니라 학생들의 잠재력, 소질 등을 비교과 영역인 동아리 활동, 창의체험 활동 등에 근거해 종합적으로 폭넓게 평가해 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입학사정관의 비전문성, 대학의 편법운영 우려 등이 거듭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입시사정관제는 꾸준히 확대됐다. 2008학년도 서울대 입시부터 시작된 이 제도는 6년이 지난 현재 126개 대학에서 4만6천900여명을 선발할 정도로 확산된 상태다. 물론 교육부가 입학사정관제도 정착을 위해 그동안 대학에 약 1천900억원을 지원한 효과라고도 볼 수 있지만, 선진적인 입시 방식이라는 인식이 없었다면 이처럼 급팽창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제가 일부 학교 현장에서는 외면 받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본보 10일자 22면) 교사들의 관심과 이해가 부족한 탓에 학생들에게 제대로 준비를 시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복잡한 전형’을 피해 여전히 성적순 입시 준비에 매달리고 있는 격이다. 이로 인해 입시사정관제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관련 사교육에 의존하는 웃지 못 할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교육부가 입시사정관제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데서 비롯된다. 지난 3월 일부 언론이 입시사정관제 폐지 보도를 낼 정도로 현 정부는 이 제도 폐지 여부를 심각하게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교육부가 즉각 폐지하지 않는다고 발표했지만, 상황이 끝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지난 8월27일 교육부가 발표한 대입전형 간소화 방안에는 입학사정관제라는 제도 명칭 자체가 등장하지 않는다. 이를 근거로 제도 자체가 폐지될 것이라는 해석과 존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는 상태다. 벌써부터 일부 대학은 폐지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그러니 수험생들은 더 흔들릴 수밖에 없다.

학생부+비교과 선발 방식은 입학사정관제를 지속적으로 보완 발전시키는 게 옳은 방향이라고 본다.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권장함으로써 공교육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려면 대학과 고교들이 지금보다 더 적극적인 의지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대학과 고교가 입학사정관제를 더 확고하게 정착시켜 나가려면 먼저 교육부가 입장을 명확히 해야 한다. 구태의연하게 성적순에 매달리는 한 공교육 정상화는 공염불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