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대학교가 오산대역 전철명칭과 관련해 오산시와 맺은 협의사항을 10여년이 지나도록 이행하지 않아 당시 명칭사용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오산대는 오산시의 협약이행 촉구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시측과 각만 세워오다 명칭사용에 대한 변경협약요청만을 주장하며 시간만 끌어왔다는 지적이다.
오산시 또한 매년 실시되는 행정감사에서 협약내용 미 이행에 대해 끊임없는 지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검토의견서만 내놓은 채 현재까지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25일 오산시와 오산대에 따르면 2002년 5월 수청지역에 건립된 역사명을 ‘오산대역’으로 명명 확정했다.
이를 위해 오산대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보육시설인 어린이집 및 문화센터(부지면적 661㎡·연면적 743㎡·3층 건물)를 건립해 운영한다는 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대학 측은 잇따른 변경 협약 체결사항을 제시한 데 이어 예정부지 또한 문화재 발굴 지연을 비롯해 교과부의 자치단체 기부채납 허가 등의 문제를 제시하는가 하면 총장의 부재에 따른 행정사항 진행이 불가하다며 행정추진을 유보하며 대책을 수립 중이라는 대답만 내놓은 채 아무런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그동안의 지가상승 등 주변여건이 크게 변화하면서 현 시점에서 협약이행에 대한 계획도 전무해 취약보육 어린이집의 건립시기 또한 불투명해진 상태다.
더욱이 시의 안일한 행정과 맞물리며 결국 오산대 측은 협약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채 10년 넘게 역사 명칭만 그대로 사용하는 격이 됐다는 지적이다.
오산시의회 한 의원은 “시의 판단착오로 인해 지역주민들에게 오점을 남기는 우를 범하지 않길 바란다”며 “대학 측의 일방적인 협약 체결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그에 상응하는 법적대응조치를 마련해 결론을 내릴 때”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오산대 관계자는 “오산시 실무자와 이 문제를 가지고 다각적인 협의를 하고 있고 당초협약내용과 별도로 시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세밀하게 검토 중이며 학교 자금을 충원해 부지를 매입할 계획”이라면서 “그동안 학교의 내부적인 사정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은 도출됐지만 신장동 주민센터에 지원금을 매년 지급하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해명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추가 협약내용 중 기부채납이 법적으로 불가함에 따라 협약내용의 변경을 요청한 상태”라며 “관련부서와 협의 후 협의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