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가지 모두 좋은 것이고 값진 것이라면 양손에 꼭 쥐고 내려놓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한 가지는 버려야 한다면 갈등이 일어나고 고민하게 되는 것이 사람이라 할 수 있다. 혹 두 가지를 다 가진 자도 있을 수 있겠으나 드물고 그 결과는 꼭 좋다 하지 못할 것이다.
성현이나 학자들이 끊임없이 하는 말 가운데 去甚奢泰(거신사태)는 지나친 과욕을 경계하란 뜻이고, 교만보다는 謙遜(줄임)을 택하란 경고였다.
사람의 욕심을 나타낸 말 가운데 ‘이것을 버리자니 저것이 아깝고 저것을 버리자니 이것이 아깝다’는 말도 있으며 또 흔하게 쓰는 말로 ‘닭갈비는 먹을 것이 없으나 버리기는 아깝다’(鷄肋)란 말도 있다.
삼국지에 보면 유비와 조조가 싸우는데 진퇴양난에 처해서 조조는 어두운 밤 부하들에게 계륵이라는 암호명령을 내린다. 대다수는 암호의 뜻을 몰라 허둥대는데 梁修(양수)라는 장수만이 조조의 이 깊은 마음을 알아 그 뜻을 알아차리고 가장 먼저 철수에 나섰다.
다음날 조조는 철수명령을 내렸다.
내 것이 아닌 것에 욕심 부리지 않으면 잃을 것도 후회할 것도 없는 것이다.
/근당 梁澤東(한국서예박물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