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의회가 최근 관내 사회단체장들을 상대로 간담회를 열고 있는 것과 관련, 진의 여부가 적절성 논란에 휩싸였다.
16일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오는 24일까지 바르게살기협의회, 통장단협의회, 자연보호협의회,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새마을부녀회, 주민자치위원회, 오산시체육회 등 7개 단체장과 간담회를 추진하고 있다.
각 사회단체장들과 간담회를 통해 의견 및 요구사항을 듣고 앞으로의 의정에 반영하겠다는 게 요지다.
하지만 이를 두고 지역정가 및 일부 공직자, 시민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포석이라는 해석과 함께 기초의원의 공천제 폐지가 공론화하면서 의장과 함께 시의원 얼굴 알리기 식의 간담회가 아니냐는 지적이다.
일부 시민과 공직자들은 “시의회가 ‘특성여론 수렴 및 지역발전 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단체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있지만 정작 시 집행기관 관계공무원은 전혀 배석하지 않은 채 의장과 시의원 중심으로 지역 현안을 청취하는 것은 명분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간담회 시간도 대부분 오전 11~12시, 오후 5시 등 식사시간 위주로 짜인 데다 17일 개최되는 새마을지도자협의회 및 새마을부녀회 간담회는 아예 저녁시간에 모 가든 식당에서 이뤄질 예정이어서 논란은 가중될 전망이다.
특히 지난 15일 열린 자연보호협의회 간담회에 참석한 28명(시의원 포함)은 뒤풀이로 인근 식당에서 주류비를 포함해 37만여원을 의회 간담회비로 지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때문에 이번 간담회가 단체장들을 상대로 시의회 차원에서 생색내기를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한 시의원은 “의도의 진위를 떠나 시의회가 모든 시민들에게 공감하는 의정상을 보여줄 시점”이라며 “이런 계산된 간담회를 빌미로 노골적인 행보에 나서는 것은 올바르지 못한 처사”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시의회 관계자는 “이번 7개 단체장과 간담회는 시의회 역할을 알리고 단체장들의 특성여론을 중심으로 소통하는 자리”라면서 “간담회 경비는 의정활동 공통경비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