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기춘추]일본은 정녕코 독일에 눈 감는가

 

앙겔라 메르켈 독일총리는 지난 1월26일 “우리는 나치가 자행한 범죄와 2차 세계대전의 희생, 그리고 대학살에 영원한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지난 8월20일에도 독일 남부도시 뮌헨에서 북서쪽으로 16㎞ 떨어진 다하우 수용소를 찾아 슬픔과 부끄러움을 느낀다며 고개 숙여 사죄했다. 나치에 의해 세워진 다하우 수용소는 1933년에서 1945년까지 무려 12년간 수만명의 유대인·폴란드인·동성애자·정치범 등이 신성한 국가 건설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스러져간 곳이다. 독일은 나치의 만행을 고발하고 역사의 교훈으로 삼기 위해 이곳을 보존해 왔다. 독일은 자신들의 치부를 적나라하게 공개하여 치욕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그뿐만이 아니다. 독일은 나치 범죄의 공소시효를 없애 끝까지 단죄하고 있다. 또한 나치로부터 고통을 받은 사람들을 향해 지속적인 보상을 약속했다.

1923년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해 조선인 2만3천58명이 간토(關東)지방에서 무참히 살해됐다. 일본 정부가 대지진으로 흉흉해진 민심을 조선인과 중국인에게 돌린 탓이다. 일본은 자신들의 나라 안에서 자행된 간토 대학살을 미화시키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8월 요코하마시 교육위에서는 군·경이 한국인과 중국인 학살에 관여했다는 내용을 삭제했다. 또한 일본 학계에서도 ‘대학살’이 아니라 단순한 ‘살해’였다는 표현을 사용해 그 의미를 애써 축소하고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중국 동북부 하얼빈시 교외에 2차 세계대전 때의 일본군 731부대 유적이 있다. 3천여명이 세균전 생체 실험대상으로 희생된 곳이다. 전쟁에 진 일본은 철저히 증거를 없애 만행의 흔적을 지웠다. 일본인들도 나치의 대량학살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에 비춰 볼 때, 남이 하면 불륜이고 자신이 하면 로맨스라는 말이 실감난다.

독일은 정부 차원에서 2차 대전 피해자들에게 보상하고 전범들을 단죄했다. 정부의 보상과 별도로 벤츠·지멘스·BMW 같은 기업들도 폴란드와 체코 등지에서 강제 동원된 피해자들을 위해 스스로 620억 유로(88조3천억원)를 내놨다. 반면 2차 세계대전 당시 조선인들을 강제노역장으로 끌어냈던 기업(1천493개 중 299개의 기업이 현재 영업활동)을 대표하는 일본 경제3단체에서는 지난 11월7일 징용피해자들의 노임 청구권을 불인정한다는 기자회견을 했다. 심지어 한국에 대한 투자와 무역관계가 냉각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협박도 서슴지 않았다. 물론 일본 외무성도 한국인의 징용피해 청구권은 이미 소멸됐다며 일본 경제단체를 거들었다. 역시 가재는 게 편이다.

전후 독일은 프랑스를 점령한 데 따른 미안함으로 거대한 알자스-로렌 지방을 조건 없이 프랑스에 할양했다. 반면 일본은 평화로운 작은 섬 독도까지도 자기네 땅이라고 억지를 부린다. 게다가 특정 섬 탈환훈련까지 벌이니 총부리만 동해로 돌린다면 우리 땅 독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독일과 일본의 처신이 달라도 이처럼 다를 수가 있을까?

아베 신조 일본총리는 1997년 일본군 위안부를 자발적인 매춘부로 비하한 데 이어, 2006년에는 전범은 국내법적으로 범죄자가 아니라는 발언을 하였다. 또한 지난 4월23일 참의원 예산위에 출석해서는 ‘침략의 정의’를 운운하며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기도 했다. 그러니 일본에는 전쟁범죄가 아예 없고 모든 전쟁범죄자들이 애국자이자 국가유공자가 되는 셈이다. 사실 일본 국내에서는 전범이 곧 유공자다. 독일의 전범 개념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확연히 차이가 난다. 최근 일본 유신회에서도 위안부 망언을 일삼았던 나키야마 나리아키 전 문부과학상을 수장으로 ‘역사문제 검증팀’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위안부 문제를 사과했던 고노 담화를 철회시키기 위한 시도라는데 이 또한 역사 왜곡의 단적인 사례이다.

역사 왜곡을 밥 먹듯 일삼는 그들의 DNA(Deoxyribo Nucleic Acid) 구조가 독일인과 어떻게 다른지 파헤쳐보고 싶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