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이끼

                                       /함순례



봉분에 이끼가 돋았다

죽어서는 그늘도 짐이 되는구나

무덤 앞 뒤 상수리나무 자르니

앞산 들머리 한눈에 들어온다

어머니 눈을 열어드린 거였다

눈자위 붉게 휘어진 시야

저 이끼로 말씀하신 건 아닌지

아픈 자식을 품고 불공드리러 가던 길

달려오는 자동차 피하지 못한

캄캄한 바닥,

핑그르르 젖이 돌고 계실

어머니의 한 짐

그늘을 베었다

-함순례 시집 ‘혹시나’中 (삶창, 2013)

 



 

양지바른 봉분에 이끼가 있는 풍경은 어딘가 이슬이 맺힐만한 그늘이 있다는 것이다. 어머니는 늘 햇살 받은 언덕처럼 따뜻했지만 어머니 그림자에 피어난 이끼. 그것은 다름 아닌 잉태하면서부터 사랑이었고 근심이었던 자식이 피워낸 눈물의 꽃이 아닌가. 환한 남향으로 시야를 열어드려도 그 분의 눈은 그늘을 향하고 그 곳에 마르지 않는 눈물로 이끼를 피우고 있는 결코 임종(臨終)하지 않는 그늘, 마치 엄마의 젖가슴같은 봉분에 핑그르르 젖이 돌듯 지금도 어머니의 그늘, 어머니의 이끼가 된 불효의 나를 돌아본다. 생전의 그늘이 귀천(歸天) 후에도 그늘이 되는 질긴 사랑을 본다, 마르지 않는 눈물을 본다. /김윤환 시인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