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가 찜통더위를 불사하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에 만전을 기하는 것과 달리 주민센터, 사업소 등 시 산하 일부 공공기관들이 실내 적정온도 유지 방침에 아랑곳 하지않고 냉방기를 가동하는 등 에너지 절약 정책을 역행하고 있다.
5일 시에 따르면 여름철 국가 전력수급 차질에 대비하고 에너지 위기극복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해마다 에너지 절약 실행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시는 올해에도 교육시설, 민원실 등 일부 다수 이용시설을 제외하고 공공기관의 냉방설비 가동시 평균 26~28℃(도) 이상으로 실내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불필요한 조명등 끄기 등 지침을 시달하고 적극 실천하도록 했다.
이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시 산하 공공기관들이 에너지 절약시책과는 무관하게 나홀로 냉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오산문화재단의 경우 건물 외벽이 대부분 유리로 지어져 가뜩이나 에너지 소모가 많은데도 실내 적정온도 유지 지침을 비웃기라도 하듯 거의 하루 종일 냉방기를 가동하고 있다.
반면 시 본청의 경우 직원들이 개별선풍기까지 동원하며 무더위와 매일 씨름하며 28도를 유지하고 있고 4층의 경우 28도를 훌쩍 넘어 직원들이 찜통더위를 호소하는 등 산하기관들과는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청의 경우 중앙집중식 냉·난방시스템으로 청사 전체온도를 적정 유지할 수 있지만 주민센터를 비롯한 일부 공공기관, 시의회 등은 중앙집중식이 아닌 자체 냉·난방기 설치 운영으로 사실상 실내 적정온도를 제대로 지키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오산시의 한 공무원은 “지역 내 일부 공공기관을 방문했을 때 본청과는 다르게 약간 추위를 느낄 정도로 냉방을 하고 있었다”며 “시가 대외적 홍보 보다는 공무원의 의식수준을 제고하는 등 에너지 절약 생활화를 위해 먼저 솔선수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에너지절약에 따른 인센티브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기관 표창 등을 위해 본청 직원이나 일부 직원들만 동참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는 행정”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에너지 절약 특별대책을 수립, 각 공공·민간기관을 대상으로 에너지 사용제한에 대해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이를 지키지 않는 공공·민간기관을 대상으로 에너지절약에 적극 동참하도록 지도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여름철 에너지절약 적정 실내온도는 26∼28℃로,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 대형건물에서 적정온도를 지키지 않아 적발되면 최고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게 된다.
/오산=지명신기자 m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