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일부터 국내 증권·파생상품시장의 정규 매매 거래시간이 30분 늘어난다.
거래시간 연장이 오랜 기간 박스권에 갇힌 우리나라 증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8월 1일부터 증권·파생상품시장과 금 시장의 정규장 매매거래 시간을 30분 연장한다고 24일 밝혔다.
증권시장 정규장과 금시장 거래 시간은 현행 6시간(오전 9시∼오후 3시)에서 6시간30분(오전 9시∼오후 3시30분)으로 늘어나고, 파생상품시장 거래 시간은 6시간15분(오전 9시∼오후 3시15분)에서 6시간45분(오전 9시∼오후 3시45분)으로 바뀐다.
다만 증권 시간외 시장의 경우 거래시간을 30분 줄여 전체 증시 마감시간은 종전과 동일한 오후 6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정규장 종료 후의 시간외 시장 운영은 2시간50분(오후 3시10분∼오후 6시)에서 2시간20분(오후 3시40분∼오후 6시)으로 단축된다.
이와 맞물려 종가 단일가 거래 시간, 자기주식매매 신청서 제출 시간, 당일 결제증권 결제시한 등도 함께 변경된다.
외국환 중개회사들의 외환 거래시간도 30분 연장된다.
거래소가 2000년 점심시간 휴장(낮 12시∼오후 1시) 폐지 이후 16년 만에 거래시간을 변경하는 것은 장기 침체 양상을 보이는 증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2011년(6조9천억원대)을 제외하면 최근 10년간 4조∼5조원대로 정체돼 있다.
한국거래소는 정규장 마감시간이 30분 연장되면 중국 등 아시아 증시와 맞물려 돌아가는 운영시간이 길어져 국내 증시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고 투자자 편의 향상으로 거래량이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한국시간으로 중국은 오후 4시, 홍콩은 5시, 싱가포르는 6시에 정규시장을 마감한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지금 글로벌 시장은 같이 움직이고 세계 곳곳에서 영향을 주는 정보가 발생한다”며 “투자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언제나 거래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