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와 관련해 중국이 보복에 나섰다. 6일자 본보 사설에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정부는 지난 2일 밤 한국행 여행 상품의 전면적인 판매 중단을 구두로 지시했다. 이에 따라 중국인들은 앞으로 여행사를 통한 한국 단체관광과 자유여행이 불가능하다. 우리나라 관광업계뿐 아니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면세점, 화장품업계, 호텔, 식당 등이 연쇄적으로 타격을 입게 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만약 중국 정부의 조치가 이대로 시행될 경우 방문객이 절반 정도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밝힌다.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천700만명이 넘었다. 이 가운데 중국인은 806만명이었다. 이번 조치가 지속될 경우 400만명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중국 정부가 이 조치를 전국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관광객은 더욱 감소한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인에게만 한 달 동안 비자 없이 관광목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혜택을 주면서까지 중국 관광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제주도는 더 큰 고민을 안게 됐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모두 총 360만3천21명인데 이 가운데 약 85%인 306만1천522명이 중국인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광업계와 정부, 지자체는 이에 따른 대책을 세워야 한다.
경기도 역시 중국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오는 지역이다.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는 이번 조치로 경기도를 찾아오는 중국인 관광객이 약 5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에 따르면 한국관광공사와 지자체들이 함께 준비하던 관광설명회 등 3월 주요 행사가 잠정 취소됐으며, 4월 베이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중국 관광 로드쇼 역시 경기도 참가가 불투명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 경기도가 긴급 대책마련에 나섰다. 6일 남경필 경기도지사 주재하는 도정점검현안회의에서 관련 내용을 논의하고 이어 7일엔 경기관광공사, 도내 관광업계 관계자 10여명과 함께 민관 합동 사드보복 대책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중국의 방한금지령에 대한 대응해 신흥시장 확대를 통한 관광시장 다변화, 대만·홍콩 등 중화권 시장에 대한 지속적 관리 등을 집중 모색할 계획이라고 한다. 베트남, 인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과 무슬림시장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일본 시장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한다. 사실 그동안 우리 관광시장은 너무 중국에 편중돼 있었다. 외국인 관광객 다양화 정책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