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내 대기업도 ‘양극화 현상’ 4대 그룹 매출 절반 ‘싹쓸이’

삼성·현대자동차·SK·LG
올해 매출액 비중이 56.2%

자산규모 상위 30대 대기업집단 매출액 가운데 삼성·현대자동차·SK·LG 등 상위 4대 집단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다.

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17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 현황에 따르면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매출액은 지난해 9월보다 9조1천억원 줄어든 1천116조3천억원이었다.

매출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집단은 SK(-11조9천억원)였으며 한진(-7조2천억원), 포스코(-6조8천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삼성(8조원), 롯데(5조3천억원), 한화(3조1천억원) 등은 증가했다.

상위 30대 집단 매출액은 최근 5년 간 감소하는 추세지만, 상위집단(1∼4위) 매출액 감소율(8.8%)이 중위(5∼10위·15.7%)나 하위(11∼30위·23.3%) 감소율보다 낮아 상위집단 매출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 확대됐다.

올해 삼성·현대자동차·SK·LG 등 상위 4개집단의 매출액 비중은 56.2%로 집계됐다. 2013년 53.2%를 기록한 이후 매년 늘고 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9월보다 2조5천억원(5.4%) 늘어난 48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상위 30대 집단 당기순이익은 최근 5년 간 감소하다가 작년부터 증가세로 전환됐으며, 올해는 상위집단에서만 당기순이익이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올해 상위 4개 집단의 당기순이익 비중은 72.7%로 2015년(107.1%) 이후 2년 연속 뒷걸음질 쳤다.

한편, 이날 공정위가 지정한 대기업집단에 KT&G, 한국투자금융, 하림, KCC가 새로 합류하고, 현대가 제외됐다. 이로써 자산 총액이 10조원을 넘는 국내 대기업집단은 지난해보다 3개 많은 31개가 됐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