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농고農高

농고農高

                                            /이덕규


들판으로 심부름 가던 뒷말 숙영이가

으슥한 벼 포기 그늘 밑으로 수줍게

하얀 엉덩이를 디밀 때

이제 막 들길 입구에 접어든

삼 년생 4H미루나무 두 그루가 가던 길 멈춰 서서 휘청휘청 짝다리를 흔들며

먼 산을 바라보고 있었다


안 봐도 다 안다는 발랑 까진 나팔바지 가을과

다 봤는데 도통 모르겠다는

얼간이 가을이 나란히

아무것도 모르는 초가을 들판 속으로 땡땡이를 치는 길이었다


가도 가도 투명하기만 해서

보이는 게 전부였던 시절이 있었다

-애지( 2017년 봄호)


 

농고, 이 얼마나 아득한 그리움의 단어인가! 내 고향 이천에도 한 개의 여고와 두 개의 남고가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이천농고, 다른 하나가 이천북고였다. 오빠가 적을 두고 있어서인지 나는 <農高>란 교표의 교모와 옅은 카키색 교복만 봐도 가슴이 뛰곤 했었다. 정말로 ‘가도 가도 투명해서 보이는 게 전부였던 시절’, 은근한 눈빛 하나만으로도 서로 설레었었지. 소피를 보는 여학생의 엉덩이를 상상하며 짝다리 흔들던 미루나무는 누구였던가. 발랑 까진 나팔바지 가을과 초가을 들판 속으로 땡땡이치던 얼간이 가을은 우리들의 사춘기를 물들이던 그 오빠들 아니었던가. 세상의 모든 농고생들에게 그 농고생 오빠를 연모하던 그 시절 모든 여고생들에게 이 시의 정경은 추억을 소환하며 짐짓 미소를 머금게 하는 정서적 메커니즘의 연결고리이다. /이정원 시인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