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나비를 읽는 법

 

나비를 읽는 법

                                          /박지웅

나비는 꽃이 쓴 글씨

꽃이 꽃에게 보내는 쪽지

나풀나풀 떨어지는 듯 떠오르는

아슬한 탈선의 필적

저 활자는 단 한 줄인데

나는 번번이 놓쳐버려

처음부터 읽고 다시 읽고

나비를 정독하다, 문득

문법 밖에서 율동하는 필체

니비는 아름다운 비문임을 깨닫는다

울퉁불퉁하게 때로는 결 없이

다듬다가 공중에서 지워지는 글씨

니비를 천천히 펴서 읽고 접을 때

수줍게 돋는 푸른 동사들

나비는 꽃이 읽는 글씨

육필의 경치를 기웃거릴 때

바람이 훔쳐가는 글씨

- 시집 ‘나비를 읽는 법’

 


 

바야흐로 교감의 계절이지요. 호응의 계절이지요. 허공과 대지가, 산과 물, 꽃과 나비, 그대와 내가 교호하는 이 봄날의 신비를 명민한 시인의 심안이 간파하고 있습니다. 중간자로서의 나비는 꽃이 꽃에게로 전하는 메시지를 부단히 퍼 나르지만 시인이 그걸 정독하는 일은 불가능 한가 봅니다. 비문이기 때문이지요. 꽃이 나비에게 내리는 자연의 비의를 함부로 들키게 할 수는 없으니까요. 나비를 펴서 읽고 접는 것은 화자이지만 정작 날개를 펴고 접는 것은 나비이니 나비와 화자가 동일화된 어떤 경지를 느끼게 합니다. 나비의 중차대한 임무가 수행되는 동안 나뭇잎이 돋는 움직임을 동사로 치환함으로써 이 시가 획득한 생동감이 적잖은 울림을 줍니다. 우리는 저마다 서로 소통을 원하고 있지만 정작 모호하게 읽히고 마는 한계 안에서 수많은 나비의 문자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이정원 시인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