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도시재생대학 과정에 참여한 지역주민들이 수료식 후 함께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인천시 제공 ]](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00937/art_15999865944724_b21ca6.jpg)
인천시(시장 박남춘)는 지난달 31일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도시재생뉴딜사업' 공모에 총 5개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시는 시민 삶의 질 향상 및 도시활력 회복을 위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적극적인 추진을 위해 자체 평가위원회를 구성, 지난 7~8월 두 달 간 서면·현장·발표평가를 통해 공모신청 한 지역 8곳 중 4곳(중구 공감마을, 계양 효성마을, 강화 남산마을, 옹진 심청이마을)을 선정,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바 있다.
치열한 경합 끝에 이들 4곳을 포함해 시가 제안공모한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등 5개 사업이 최종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인천은 지난해에도 5곳이 도시재생뉴딜사업에 이름을 올렸었다.


▲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 5곳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사업은 서구 석남동 484-4번지 일원(213,392㎡, 중심시가지형)에 총 1,733억 원(국비 150억 원)이 투입돼 5년 간 진행된다. 50년 동안 도심 단절로 지역발전 정체의 요인이 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를 계기로 인천시 주도의 통합적인 도시재생이 중심이다. 석남1동 행정복합센터 주변에 행정센터 복합개발과 함께 혁신일자리클러스터·주차장·임대주택 등이 조성된다.
향후 7호선이 연장 개통되는 석남역 주변은 입체적 연결 거점 조성, 주차장 설치 등 환승역세권의 중심기능이 강화되며 거북시장 일대는 시장리뉴얼, 주차타워, 특화가 조성을 통해 상생경제의 허브로 탈바꿈한다.
중구 신흥동 38-9번지 일원(87,037㎡, 주거지 지원형)의 기존 정비구역 해제지역인 '신흥동 공감마을'은 가로주택정비·노후공공청사·공공임대주택 등 정주환경 개선사업, 주차장·쓰레기 분리수거장·무인택배 등 생활인프라 개선사업, 현장지원센터·주민 자생조직 운영 등 주민역량 강화사업이 추진된다. 4년 간 모두 831억 원(국비 88억 원)이 투입된다.
‘서쪽하늘 아래 반짝이는 효성마을’은 계양구 효성동 169-12번지 일원(113,052㎡, 주거지 지원형)의 공장 배후 주거지역이다. 647억 원(국비 88억 원)을 들여 가로주택정비·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공공임대주택 등 정주환경 개선사업과 주차장·쓰레기 분리수거장·무인택배함 등 생활인프라 개선사업, 주민역량 강화사업을 추진하는 게 골자다.
강화군 남산리 213-2번지 일원(90,998㎡, 주거지지원형)의 '고려 충절의 역사를 간직한 남산마을'은 4년 간 265억 원(국비 80억 원)이 투입돼 구 보건소 부지에 거점공간인 주민복합센터를 조성하고, 주민참여형 가로주택정비·빈집 정비 등 주거환경을 정비하며, 주차장·쉼터·쓰레기 분리수거장 등 생활인프라 개선사업이 진행된다.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763-5번지 일원(57,605㎡, 우리동네살리기)의 '백령 심청이마을'은 작은영화관·심청마을문화센터·마을사랑방·마을쉼터 등 문화생활 및 공동체 활동을 위한 시설 조성과 주차장·전선지중화·LPG보관함·마을세탁소 등 생활편의 및 소득증대 시설 확충에 모두 123억 원(국비 44억 원)이 지원된다.



▲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빈집재생 시동
인천시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 이후 전국 최초로 빈집정비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어 빈집의 효율적 관리 및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8개 구에 예산을 지원하고, 지난해 한국감정원 등과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를 바탕으로 빈집의 주요 구조부와 위해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등급(1~4등급)을 산정할 계획이다.
시 주거재생과 관계자는 "빈집정비계획 수립으로 향후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다"며 "각 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원도심의 주거환경이 보다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국토부 공모 3년 연속 선정
국토부가 주관하는 '소규모재생사업' 공모에서 인천시는 올해 미추홀구 등 3곳이 선정됐다. 이번 공모에는 전국 17개 지차체에서 총 136곳이 신청,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소규모재생사업에는 모두 7억4천만 원(국비 3억7천만 원)의 재정이 투입돼 공동체 활동공간 조성, 주민이 직접 프로그램에 참여해 마을이야기를 담은 그림책 출판, 마을책방 만들기 등이 진행된다.
시 관계자는 "소규모재생사업에 대한 주민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추진기반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체계적인 발굴을 위한 'M·C'단 구성·운영 등 보다 질높은 재생사업을 위해 행정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주민참여 인천시 도시재생대학 운영
인천시도시재생대학은 원도심 빈집활용, 사회적 금융, 사업계획서 작성기법 등 도시재생사업에 주민들의 직접 참여가 가능하도록 실제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과정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도시재생지원센터를 통해 기본과정 수료자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실습 중심의 심화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도시재생대학 심화과정, 찾아가는 도시재생대학, 활동가 양성과정, 공공기관 역량강화, 도시재생 워크숍, 협치 포럼,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과정의 발굴·운영을 통해 지역전문가와 인재를 지속적으로 양성해오고 있다.
전찬기 시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앞으로도 인천지역의 도시재생 인프라 구축과 원도심 균형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는 공통적으로 지역주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주민교육·도시재생대학 사업비가 포함돼 있으며, 재생지원 이후에도 지속적인 선순환 구조가 구축될 수 있도록 마을기업·지역협동조합 등의 운영계획과 젠트리피케이션 예방 및 부동산 대책 등을 적용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중 국토부의 활성화계획 승인 및 실현가능성 타당성 평가 절차를 통해 총사업비에 대한 국비지원금을 확정해 지방비 매칭 등 예산확보에 따른 실시설계를 거쳐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앞서 시는 민선7기 첫 조직개편을 통해 원도심 전담부시장제 및 도시재생건설국과 도시균형계획국을 총괄하는 원도심조정관직을 신설하는 등 강력한 행정지원 체계를 마련한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토대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도시재생협의회 및 현장소통센터 설치 등 민관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등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적극 행정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